|
부분압력은 30mmHg이고 조직세포 안에 있는 산소의 부분압력은 10mmHg이다. 그래서 말초조직에서 모세혈관의 동맥혈에서 산소는 림프액으로, 림프액에서 다시 조직세포로 이동하게 된다. 동맥 혈액에 있는 산소가 조직으로 퍼져서 산소의 부분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3.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소를 사용하고 CO2를 방출하기 때문에 산소의 분압은 낮아지고(CO2의 분압은 높아지고) 때문에 Hb는 CO2와 결합하면서 산소를 방출하게 됩니다.
여기서 산소분압에 따른 산소헤모글로빈 포화도 곡선을 보면 조직의 산소분압은 일반적인 상황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소는 혈색소와 결합해 운반됨
- 혈색소
- 100㎖의 혈액에 약 15gm, 혈색소 1gm은 1.34㎖의 산소와 결합
- 산소 분압이 높은 곳에서 극히 짧은 시간(0.01초)에 산소 결합, 산소분압 낮은 곳에서 쉽 게 산소 분리
- 산소해리곡선(oxygen dissociation curve)
;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소분압이 감소될 때 반응, 호흡중추를 자극.
저산소혈증이 발생하면 말초화학수용체를 자극, 이것은 호흡중추를 자극하여 환기 증가.
대동맥굴(대동맥동, aortic sinus)과 목동맥팽대(경동맥동, carotid sinus)에는 압력수용기 (baroreceptor)가 있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6.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산소 헤모그로빈의 해리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해리곡선 A,B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중)
①온도가 높아지면 곡선 B는 A쪽으로 이동한다.
②pH가 낮아지면 곡선 B는 A로 이동한다.
③산소분압이 높아지면 곡선 A는 B로 이동한다.
④A가 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