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반도 주변에서 해·공군의 군사작전지역 경계선을 논의
1945년 8월 8일 소련, 대일 선전포고 후 만주·북한으로 진공
1945년 8월 10일 일본, 항복의사 타전
1945년 8월 15일 일본,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 한국 해방
일반명령 1호, 일본군의 항복을 접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0.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후 전 세계의 이데올로기 대립이라 할 수 있는 냉전의 갈등이 한반도에서의 한국전쟁으로 인해 응축, 폭발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 알다시피 엄청난 비극과 분단의 고착화뿐 이었다.
2. 참고문헌
해방직후 북한좌익 세력의 당 조직형태 변
|
- 페이지 4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10.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방기 소설의 반영의식 연구』, 국학자료원, 1998
신형기, 「해방 이후의 이태준」, 『상허학보』제5집, 상허학회, 2000
이병렬, 「이태준의 「먼지」연구」, 상허학보8집, 깊은샘, 2002
이완범, 「한반도 신탁통치문제 1943~46」, 『해방 전후사의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방직후 한반도의 상황 (미군정 실시 배경)
1.1. 해방 전 국내세력에 대한 미국의 인식
1.2. ‘해방 직후 3년’- 그 의미와 중요성
1.3. 해방 직후 국내 상황
1.3.1. 조선 민간사회의 위축과 와해.
1.3.2. 정치 사회의 미성숙
1.3.3. 해방 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2.1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방전후사의 인식" 1. 서울: 한길사. 1989. (1~2쪽)
홍인숙, 「건국준비위원회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논문, 1984 Ⅰ. 들 어 가 며
Ⅱ. 해방 후 한반도의 정세
(1) 건국동맹
(2) 해방과 건국준비위원회
(3) 남북합작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