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만금 사업 예산의 산정 불가
- 초기예산 대비 약 3배가량 초과소요, 완공 까지 얼마의 예산의 소요될지 산정 불 가,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제기.
⑷ 간척사업으로 사라지는 갯벌의 가치
- 전북의 90%이상의 갯벌이 간척사업으로 인해 사라지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0.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해안의 매립
2. 충천도 해안의 갯벌
3. 전라북도의 갯벌 매립
4. 전남, 목포지역 갯벌
5. 경상남도(부산광역시 포함) 갯벌
4.갯벌 훼손의 문제점
1. 농토확장을 위한 간척사업
2. 산업시설을 위한 토지창출
3. 간척 후 토지 소유에 관한 문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9.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척사업과 환경 오염 및 생태계 변화로 서식지가 파괴되고 양식장이 줄어든 것도 한 요인이다.
경기~충남~전북~전남에 이르는 서해안에선 30여년 동안 11만8백여㏊의 간척지가 새로 만들어졌으며, 특히 90년대 초 새만금 간척사업이 시작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2.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새만금간척사업백지화를 위한 시민위원회. 1998. 새만금간척종합개발사업, 무엇이 문제인 가.
⑤ 우리나라의 갯벌, 해양수산부, 1998.3.
⑥한국의 갯벌 (http://eco.kfem.or.kr/wet/)
⑦ 갯벌 자연 정보 생태시스템(http://www.wetland.or.kr) 1.갯벌이란
2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척사업과 계획되어있는 공유수면매립계획에 대한 재조정이 있어야 할 것이다.이미 갯벌은 개발의 대상이 아니라 보존의 대상이라는 국민적 인식이 높아진 상황에서 서남해안 갯벌의 보존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 새만금 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