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양탈환과 행주대첩
1592년 조선에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여송이 이끄는 명의 제2차 원군이 록강을 건너 한반도에 들어왔다. 그러나 이여송은 일본의 침략으로부터 조선을 도와주러 왔다는 원군이라는 명분 아래 거들먹거리며 갖가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4.05.03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평양성 탈환
2월 : 행주대첩, 함경, 평안도의 왜군 한성으로 퇴각
3월 : 심유경 일본과의 강화회담 재개
6월 : 제2차 진주성싸움
8월 : 일본군 철수 시작, 명군 철군
10월 : 한성으로 선조 돌아옴
1594년 1월 : 전국에 대기근 발생
2월 : 훈련도감 설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평양성 탈환
2월
행주대첩, 함경, 평안도의 왜군 한성으로 퇴각
3월
심유경 일본과의 강화회담 재개
6월
제2차 진주성싸움
1594년
8월
일본군 철수 시작, 명군 철군
10월
한성으로 선조 돌아옴
1596년
1월
전국에 대기근 발생
2월
훈련도감 설치
1597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1.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평양성을 탈환하였다. 하지만 무리하게 남하하다가 고양에서 매복하고 있던 일본군에 당해 패배하였고 개성으로 퇴각하였다. 그 후 임진강을 경계로 교착 상태를 벌였다. 일본군이 행주대첩에서 패배하면서 한양을 포기하고 후퇴하였다.
159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1.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평양성을 탈환하였으며, 관군과 백성들이 합심하여 행주산성 등에서 적의 대규모 공격을 물리쳤다. 이에 왜군은 서울에서 후퇴하여 경상도 해안 일대에서 장기전에 대비하였다.
한편, 조선도 전열을 정비하여 왜군의 완전 축출을 준비하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