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마차. 砧具也
駕 가마. 轎也
銅 飛乃 구리마다개 酒煎子也
*원문에는 全部 「 」로 되어있는 것 같다.
이상으로 「 」는 解決이 된 셈이다. 그러니 「影 」는 자연 「그르마」의 표기가 확실하며 이 어형 또한「―이」接尾辭가 붙는 이전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5.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국어사》의 시대 구분문제
2. 국어사 연구 방법
3. 알타이어의 특징
4. 중세 국어의 언어사적 특징
5. 향약구급방과 계림유사
6. 전기 중세 국어의 자료
7. 전기 중세 국어의 모음 체계, 순경음
8. 전기 중세 국어의 자음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9.08.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계림유사 고려방언연구’에서 송대음과 이에 의해 적혀진 12세기의 고려어와의 대응관계를 구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남풍현은 ‘차자표기법연구’에서 고려 시대 차자 자료인 ‘향약구급방’의 표기법을 분석하였으며, 장지영과 장세경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언집석연구,김형기선생팔질기념국어학논총.
* 자료 및 약호
계림유사----------------------------<계림>
구급간이방--------------------------<구간>
구급방------------------------------<구방>
금강경삼가해------------------------<금삼>
능엄경언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 한센병의 역사
최초기록: 기원전 600년경 인도, 400년경 중국문헌
**우리나라**
1251년 향약구급방:나병과 유사한 증상 발견
1445년 향약집성방:현대 나병 증상과 같은 대풍이라는 기록(전염병으로 인식. 국가적 차원의 격리, 구호, 치료)
1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1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