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용응력도
설계법은 허용응력도설계법, 소성설계법, 한계상태설계법이 있다
■ 허용응력도설계법의 개념
재료강도
기본허용응력
허용응력도
Fy(항복응력도)
Fu(인장강도)
× a
――――――→
(a:1보다 작은 값)
F
× v
――――――→
(v:보정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허용응력도로부터 분리한다면 명백해지듯이 종래로부터 허용응력법은 정적인 파괴에 있어서는 극한내하력을 조사하고 있다. 허용응력법설계에서도 필요하다면 피로파괴에 관해서도 조사하고 있다. 또한 변형량은 물론 필요한 것이 명백해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응력도(應力度)가 일정한 재료허용(材料許容)응력도를 넘지 않도록 각 부재의 단면을 정한다. ④ 허용응력도를 정할 때 단기응력도는 변형(變形)을 고려한 종국적인 수치를 택하고, 장기응력도는 관례나 장기강도(長期强度) ·변형 등을 고려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0.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허용응력도를 종류별로 구분한 것이다. 표의 허용응력도는 장기응력에 대한 것이며, 단기응력은 장기응력의 2배로 한다.
목재 종류
압축
인장, 구부림
전단
침엽수
적송, 흑송, 낙엽송, 미송, 회나무, 솔송나무
80
90
7
낙엽송, 미회나무
70
80
6
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허용 응력 설계법(W.S.D., Working Stress Method)
1) 계산상의 가정
2) 허용응력도의 할증
3) 안전계수에 의한 비교
4) 장점·단점
2. 한계 상태 설계법(L.S.D)
1) 이상적인 설계법
2) 정의
3) 사용한계상태(serviceability limiot state)
4) 장점·단점
참고문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