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74건

로 구성된 분비샘(Post lingual gland) - 고유판의 깊은 층은 치밀한 결합조직으로 되어 혀근육이 끝나는 lingual fascia를 형 성한다 B. 혀의 아랫쪽 - 평탄하다. 1) 전형적인 점막 2) 얇은 점막밑조직 앞혀샘(ant. lingual gland);혀끝의 아랫면에서 혀주름 양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7.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이에 빨대를 끼우고 밀가루가 뿌려진 책상 위에 낙서하는 놀이를 한다. 드르륵, 달그락 뒤뚱뒤뚱 등의 의성어와 의태어를 통해 지도한다. <ㄸ>발음 익히기 혀끝을 윗잇몸에 붙이고 긴장시킨다. 나팔소리-따따따, 시계소리-똑닥똑닥 등의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혀끝이나 혀의 앞부분이 윗니 뒷부분이나 잇몸에 닿아 조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윗니 뒷부분에 혀끝이 닿아 조음이 될 때 이를 치음이라 부르고 잇몸에 닿아 조음이 될 때 이를 치조음이라 부른다. [t]와 [d]도 [n]과 동일한 위치에서 조음되는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혀끝이 와 비슷한 자리에 닿되 혀의 모양이 많이 구부러지거나 떨게 되는 반혓소리다. 이 글자도 혀의 옆 모습을 본떴음을 짐작할 수 있다. \'(미음)\'이란 글자는 이 글자의 소리를 낼 때 아래위의 두 입술이 붙기 때문에 입의 모양을 본뜨고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혀끝과 윗잇 몸에서 나는 마찰음 ‘ㅎ’ 목청에서 마찰이 나는 성문 무성 마찰음 (성문(聲門)은 성대의 두 막 사이의 공간을 가리키는 말이다. 성문 의 개폐정도에 따라 음성의 무성 성대(聲帶)를 진동시키지 않고 내는 소리. 국어에서는, 자음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1.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논문 1건

다. 학업성적이 좋은 편이고, 낙천적이며 잘 웃는 밝은 성격이라고 하였다. 검사시 호기심이 많고, 협조적인 태도를 보였다. 나. 평가결과 구강조음기관의 기능선별검사에서 치아의 맞물림에 문제가 있고(윗 턱이 앞으로), 혀끝을 내밀어 위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800원
  • 발행일 2012.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발행기관
  • 저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