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리고, 소나무가 다시 요즈음 '솔나무'로 통용되는 것과 '알+으로 -- 아오, 알+읍니다--압니다, 알+으시고 -- 아시고' 등에서 '알+으'의 결합에서의 탈락은 어떻게 된 것이고 현대 국어에서 'ㄹ'은 오히려 유지되는 경향(/알으시고/ 알지[예전에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5.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에서 어간말자음군의 유음화
어간말자음군 'ㄾ,ㅀ,ㄼ' 다음에 '는, 나, 네'등의 'ㄴ'이 결합하는 경우
훑+는 /hult +n
n/ [hull
n]
뚫+네 /t'ulh+ne/ [t'ulle]
짧+나 /
alp+na/ [
alla]
*'밟다, 읊다'의 경우 <표준어규정>의 표준발음에서는 'ㄹ'탈락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탈락은 현대국어에서는 공시적 생산력을 가진 형태소 결합절차가 아니므로 (2)의 규칙이 음운론적으로 가능한 규칙이라 해서 이를 공시적인 규칙으로 기술하는 것은 타당하지 못하다는 반론을 제기하였다. 또한 (1)에서 살펴본 유음탈락을 공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현대국어와 유사
예) 시제
·과거 - 니링시니이다 (월인천강지곡)
·현재 - 사모려 힝다다 힝아(석보상절)
·미래 - 힝시리라 (월인석보)
예) 경어법
·주체존대 - 부테시거시니 (몽산법어언해)
·객체존대 - 子는 내 힝힝시는 힝디시니라
예) 어말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혹(중세)>혹시(현대국어)', '-더시, -거시(중세)>-시더, -시거(현대국어)'의 예들이 있다.
<참고문헌>
오정란. 현대 국어음운론, 서울: 형설출판사. 1993. 1. 동화
2. 이화
3. 음운의 축약과 탈락
4. 음운의 첨가
5. 음운의 전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