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進行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方將이 사용된 문장을 살펴보면
不知夫五尺童子 方將調飴교絲 加己乎四之上
과 같으니, 결구식은 方將 + 謂語 = ‘지금····하고 있다.’
以上에서 현재시제사에서 부사에 해당하는 方과 方將에 의해 이루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ERROR : 30503] 오류 발생. 동사의 시제(Tense)
1. 현재시제
2. 과거시제
3. 미래시제
4. 진행형시제
5. 진행형을 쓰지 않는 동사
6. 현재완료
7. 과거완료 (Had + p.p)
8. 미래완료 (will 또는 shall + have + p.p.)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2.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내용과 방법
1.3. 선행 연구
Ⅱ. 한국어 시제의 개념과 기능
2.1 시제의 개념
2.1.1 시제의 범주
2.1.1.1 과거시제
2.1.1.2 현재시제
2.1.1.3 미래시제
2.1.1.4 한국어의 절대시제와 상대시제
2.2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8.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2) ‘-(으)ㄹ-’ , ‘-ㄹ 것이-’
화자 또는 타인의 지각력을 바탕으로 한 추측을 나타낸다.
예1) 내일은 중부지방에 걸쳐있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리겠습니다.
예2) 야, 맛있겠다. -시제란?
1.과거시제
2.현재시제
3.미래시제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by next month
ㆍI shall have been studying English just eight years by next April.
시제의 일치
(1) 주절의 동사가 과거일 때에는 종속절 중의 동사는 과거 또는 과거완료로 한다. 이것을 시제의 일치라고 한다. 9단, 주절의 동사가 현재, 미래 및 현재완료일 때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