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 소리는 비슷하지만 각각 not과 under라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happy 불행한
undersized 소형의
<i>
소리도 완전히 다르고 의미도 완전히 다른 경우
{fore-}과 {after-}은 소리도 완전히 다른 뿐만 아니라 각각 before과 after라는 완전히 다른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태론적 표지와 명사와 동사라는 완전한 범주의 통사론적 특징을 잃거나 중화된다.
어떤 원리에 완전히 일치하는 예들을 찾을 수 있는 것인가의 문제가 위의 다섯 원리와 구적 접미사를 대응시키는 것에서도 나타나지만 구적 접미사를 문법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동법을 실현
: 중세 국어에서는 현대 국어보다 파생 접미사를 훨씬 더 많이 사용 (현대는 통사적 구성이 많음)
㉤ 피동법의 변화
: 현대와 같은 경우, 영접사 파생, 현대국어보다 접미사를 훨씬 더 많이 사용
㉥ 부정법의 변화
: ‘아니 /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