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훈련을 모두 맡는 겸영장 체제로 바뀌었다. 그 뒤 속오군의 훈련은 점점 유명무실해졌다.
<참고문헌>
뿌리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5권 조선후기 김종수 지음 1. 훈련도감을 설치하다
2. 5군영제를 완성하다
3. 속오군이 수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17.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련과 같은 정상적인 업무까지 소홀해 졌다.
이같은 조짐은 이미 숙종때부터 훈련도감금위영어영청에까지 나타나 보이고 있다. 왜냐하면 숙위병의 생명이라 할 무예의 정보함이 점차 상실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헌종대에도 물론 용호영호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에 전념하게 하였다.
④ 중앙에 5위, 지방에 진수군을 두었다.
⑤ 훈련도감을 비롯한 5군영을 설치하였다.
29. 다음 사항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중)
여러 신분으로 구성된 지방군으로 평상시에는 생업 종사, 향촌 방위, 유사시에는 전투에 참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련도감을 비롯한 군사 기구의 개편이 시작
- 병농일치 기반의 제도에서 직업군인인 훈련도감, 5군영 제도 등
- 여러 무기 개발
경제적 피해
- 왜란 이전에 170만결에 달하던 농지면적이 전란 후 54만결로 감소
- 인명피해로 인한 인구의 감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1.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5군영 (.훈련도감, 어영청, 총융청, 수어청, 금위영 )
⋅지방군: 속오군
조세 제도 개편
⋅영정법(전세): 풍흉에 관계없이 토지 1결당 쌀 .4두로 고정
⋅대동법(공납): 토산물 대신 토지 결수에 따라 .쌀 1결당 12두 → 공인 등장
ͺ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6.0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