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훈민정음이 성공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리하여 28자를 만들어 내고 난 뒤, 초성, 중성, 종성을 합하여 한 음절을 적는 데 필요한 방법을 정하였으며, 두세 글자가 겹쳐지는 병서(竝書)글자도 만들었다. ‘ㄲ ㄸ ㅃ ㅆ ㅉ’와 같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 창제당시 한국어의 음운과 음성에 대한 연구가 상당한 수준에 있었음을 보여준다. 훈민정음은 자음 17자, 모음 11자로 창제되었다. 자음은 발음기관을 상형하여 소리값이 가장 여린 기본자를 만들고, 소리의 거센 정도에 따라 획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어디에도 세종과 집현전 학자들이 각 글자의 이름을 무엇으로 붙였는지를 알려주는 대목은 없다. 더군다나 《훈민정음》언해본에서
ㄱ 엄쏘리니......
라고 되어 있는 기록을 보면 ‘ㄱ’ 뒤의 조사가 ‘’이 아닌 ‘’이 쓰인 것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어디에도 세종과 집현전 학자들이 각 글자의 이름을 무엇으로 붙였는지를 알려주는 대목은 없다. 더군다나 《훈민정음》언해본에서
ㄱ 엄쏘리니......
라고 되어 있는 기록을 보면 ‘ㄱ’ 뒤의 조사가 ‘’이 아닌 ‘’이 쓰인 것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이 이루어졌다.[是月訓民正音成]” 라고 밝히고, 본문 곧 예의(例義)에 해당하는 세종대왕의 어제 서(序)와 글자의 음가(소리값) 풀이, 글자의 운용 등이 있고, 그 밑에 정인지의 훈민정음 해례 서(序)가 잇달아 실려 있다. 여기에 “예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7.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