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어사. 박이정.
이기문(2006). 국어사개설. 태학사.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1. 국어의 음운규칙에 대해서 설명하시오.(10점)
2. 형태소에 대해 설명하시오.(10점)
3. 훈민정음의 자음자와 모음자의 제자원리에 대해 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0.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에서 모음 ‘ㅐ, ㅔ, ㅚ, ㅟ’는 이중모음으로 발음되었다.
(18) ‘사???, 우???우??, 여름, 노피’은 중세국어에서 모두 명사로 쓰인 단어들이다.
(19) 근대국어의 문법적 특징 중 하나는 현재시제의 선어말어미가 ‘??’ 하나로 통일된 것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에 관한 심화학습을 시도해보는 발판으로 삼겠다는 결의를 다져보며 여기서 마친다.
♠참고문헌♠
김완진(1983) <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 지식산업사
문효근(1993) ‘훈민정음 제자원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안병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힝다>ㅶㅣ가다>찢다 Ⅰ. 중세국어
1.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2. 병서자(합용병서, 각자병서)
3. 성조체계
4. 소실문자 음가, 쓰임
5. 중세국어의 음운 현상(변천)
6. 문법
Ⅱ. 근대국어
1. 자음체계
2. 모음체계
3. 음운 현상(변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5.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의 창제자
Ⅱ. 훈민정음의 의미
Ⅲ. 한글창제의 동기
Ⅳ. 훈민정음의 기원설
Ⅴ. 원본 훈민정음의 내용
Ⅵ.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Ⅶ. 한글의 명칭과 맞춤법
Ⅷ. 한글의 우수성
Ⅸ. 한글창제에 관한 공박
Ⅹ. 한글날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5.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