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훈민정음’에 관한 심화학습을 시도해보는 발판으로 삼겠다는 결의를 다져보며 여기서 마친다.
♠참고문헌♠
김완진(1983) <훈민정음 제자경위에 대한 새 고찰>, 지식산업사
문효근(1993) ‘훈민정음 제자원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안병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 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7
박지홍, 풀이한 훈민정음, 과학사, 1984
장소원, 대세계 백과사전, 태극출판사, 1974 1.훈민정음 제자원리..........................................1
1)초성의 제자원리....................................1
2)중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을 창제한 것이다. 둘째,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는 크게 상형의 원리와 가획의 원리로 구분할 수 있다. 상형의 원리는 훈민정음의 가장 핵심적인 제자 원리로서 자음은 발음기관을 본떠서 만들었고, 모음은 天地人을 본떠서 만들었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 제자원리
1. 서론
2. 본론 (訓民正音解例 훈민정음해례)
(1) 制字解 (제자해)
① 원리
② 초성
③ 청탁
④ 중성
⑤ 모음의 字形과 상징
⑥ 三才之道
⑦ 초성 대 중성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을 말하는 것이다. 그동안 앞서 기원설에서 살펴보았듯, ‘字倣고전’이나 ‘象形而字倣고전’에만 의하여 옛 글자나 다른 글자에서 기원을 찾고 훈민정음의 제자원리를 밝히려 했던 논의나 훈민정음에 제시된 포괄적인 상형에 부합되지 않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