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훈차
乙
목적격 조사 ‘을’
○(새을)
爲在乙良
하거들랑
乙-을, 良-랑
爲- 하 在-거
齊
-다
○(다 제)
爲去乙
하거늘
去-거 乙-를
爲 -하
爲遣乙良
하거들랑
遣-거, 乙-를, 良-랑
爲 -하
위 표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특정 문장 표현이 계속 반복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1.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차 즉 한자의 새김을, 형태 요소에 대하여는 음차 즉 한자의 음을 빌고 있다.
향찰 표기 체계의 확립 시기는 국어 구문에 맞도록 형태 요소인 접미사의 표기 방식을 창안하여 사용한 이상 의미 요소에까지 이를 확대시켜 전면적 표기를 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音을 빌어 쓰는 두 가지의 방법이 있으며, 훈을 빌어 쓰는 자를 훈독자, 훈차자라고 하고, 음을 빌어 쓰는 방법을 음독자, 음차자라고 한다고 우리는 국어사 시간에 배웠으며, 위에서도 잠깐 언급을 하였었다. 훈독자는 대체로 우리가 그 글자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3.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리
차자 표기의 방법으로는 한자의 訓을 빌어 쓰는 방법과 音을 빌어 쓰는 두 가지의 방법이 있으며, 훈을 빌어 쓰는 자를 훈독자, 훈차자라고 하고, 음을 빌어 쓰는 방법을 음독자, 음차자라고 한다고 우리는 국어사 시간에 배웠으며, 위에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7.0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⑩ 오다 셜힝 해라(김완진)
5.2.1 來如 오다 <前出>
5.2.2 哀反
(1) 哀(訓) 셤-
소창진평 이래로 거의 훈독에 따르고 있으나 정렬모만이 특이하게 훈차를 취했다. 정렬모는 \'哀\'의 音을 \'잎\'로 가정하고 \'애\'를 나타내는 것이라 했다. 그러
|
- 페이지 4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