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 론
2. 본 론
가. 인현왕후_민씨
나. 희빈장씨(禧嬪張氏)
(1) 궁궐의 꽃 궁녀
다. 숙명의 라이벌
라. 두 여인의 종말
3. 결 론
4. 참고자료․문헌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9.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Ⅱ-Ⅳ.환국정치의 말로
환국정치의 종말을 알리는 희빈의 죽음
1701년 민비가 죽고 나서 취선당 서쪽에 신당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희빈 장씨가 신당을 차려놓고 무당을 불러 굿을 하기도 하고 매일같이 민비가 죽기를 기원하며 자신의 복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희빈의 죽음
1701년 민비가 죽고 나서 취선당 서쪽에 신당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희빈 장씨가 신당을 차려놓고 무당을 불러 굿을 하기도 하고 매일같이 민비가 죽기를 기원하며 자신의 복위를 꾀했는데. 실제로 민비가 죽자 이 신당 문제는 걷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희빈(가명)이의 간식제공이 있었다. 희빈이는 희건이와는 반대되는 상황으로 밥과 모든 반찬을 잘 먹고, 간식 또한 열심히 챙겨먹는데, 희빈이의 간식을 희건이랑 같이 먹는 것을 보게 되었다. 간식으로 통해 배가 고프지 않으니까 희건이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희빈
숙종은 오래도록 아들을 얻지 못하다가 장씨와 가까이 하여 균을 낳자, 1689년(숙종 15) 1월 균을 세자로 봉하였다. 이에 따라 소의 장씨는 희빈에 오르고, 세자책봉은 불가하다고 상소한 송시열은 유배되어 사사되었으며 나머지 서인들도
|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