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exion + abduction
표 3과 같이 용어의 변천이 이루어져 왔지만, 일반적으로 Norkin과 Levangie(1992)들이 주장하는 움직임의 이름을 사용하는 추세로 가고 있어, 본 글도 이런 추세를 따르고자 한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했듯이, 거골하관절의 움직임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8.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게 된다. 종골을 잡고서 거골하 관절을 고정한다. 단지 족관절 운동만 일어나게 하기 위하여 전족부의 대용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후족부에서 전족부를 내반시켜 고정시킨다. 검사자는 전족부를 잡고 족관절을 족저굴곡, 배측굴곡 시킨다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거골은 재거돌기(susteutaculumtali)라 불리우는 종골의 돌출부 위에 위치한다. 거골은 몸통, 목, 머리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거골의 가장 윗부분은 활차(trochlea) 부분으로, 복사뼈의 내측, 외측 관절로 발목관절의 형태를 하고 있다. 거골은 뒤쪽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 관절의 움직임
(1) 거퇴 관절(talocrural joint)의 가동성 증진 저측굴곡(plantar flexion) 증진을 위해, 거골을 전방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배측굴곡(dorsiflexion) 증진해 거골을 후방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2) 거골하관절(subtalar joint)의 가동성 증진 내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절 고정술
전산화 단층 촬영상, 심한 분쇄와 전위가 나타나 수술적 정복 및 내고정을 할 수 없을 경우에 시행할 수 있다.
후유증
골유합은 쉽게 이루어지나 부정유합이 나타날 수 있다. 종골 골절 후 에 발생하는 동통의 원인으로는 거골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