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랑게르한스섬이다. 랑게르한스섬은 인슐린과 글루카곤등과 같은 호르몬을 분비한다.
(1)랑게르한스섬
랑게르한스섬의 가장 두드러진 세포는 α-세포에서 분비되는 글루카곤과 β-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다. α-세포는 혈당농도가 감소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7.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랑게르한스섬에 어떤 변화가 생기면 당뇨병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1905년에 보고하였으며, 1916년에는 췌장에 존재하면서 당대사를 조절하는 물질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 가상물질을 인슐린(insuline)이라 명명하였다.
한편 독일의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5.04.2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섬 모양의 특수한 조직인 랑게르한스섬(췌도, 膵島)이 존재한다. 랑게르한스섬의 총용적은 이자 전체의 1∼2%로서 α세포와 β세포 2종류의 세포가 있다. α세포는 아닐린에 의해 붉게 염색되는 과립이 있어서 글루카곤을 분비하며, β세포는 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섬세포를 당뇨병 환자 이식
사람의 췌장 랑게르한스섬 세포를 이식된 35명 가운데 28명이 12개월 동안 인슐린 주사를 끊었다.
이러한 수술의 성공률이 80%로 1997-2000년의 14%, 1997년 이전의 11%에 비해 크게 높아진 것으로 인슐린 주사보다 완치가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랑게르한스의 이름을 따서 랑게르한스섬이라고 불리는 또다른 분비조직이 분포해 있다. 이 섬은 체내에 저장되는 당(糖)의 양을 조절하는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분비를 담당한다. 인슐린은 체세포들을 자극하여 혈류에서 당을 흡수하게 한다.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8,400원
- 등록일 2013.10.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