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의 욕망과 한센인의 강제격리. 돌베개. 1. 내용 요약
1) 세균설·인종주의·강제격리
2) 식민지 조선과 한센병
3) 생존과 치료를 향해
4) 소록도, 절멸의 수용소
5) 해방된 조국, 해방되지 못한 사람들
6) 개혁과 반동의 시간
7) 죽어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5.08.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센인 격리시설을 확장하기 위한 모금활동을 마친 후, 조선총독부는 소록도 전체를 격리시설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1933년 9월 20일 소록도 자혜의원의 확장 공사가 시작됐는데, 이날부터 한센병 환자들의 노동력을 착취했다. 2년여년의 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4.10.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 국가와 시민사회의 노력과 성과에도 불구하고, 한센인에 대한 강제격리라는 역사적 경험은 아직 제대로 평가되지 못했다. 여전히 강제격리는 당시 어쩔 수 없는 것이었고 한센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일한 해결책이었던 것처럼 인식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4.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차별에 대해 이미 경험한 바가 있습니다. 또한, 자녀들에게도 이런 차별과 편견이 얼마나 사람을 억누르고 성장시키지 못하는지를 이해시켜주고 싶습니다. 그들에게는 외모나 질병, 사회적 지위에 의한 차별 없이, 각자의 고유한 가치를 인정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4.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간성 회복에 관한 보고”, 『대한나학회지』.
김재형, 오하나, 2016, “한센인 수용시설에서의 강제적 단종·낙태에 대한 사법적 해결과 역사적 연원”, 『민주주의와 인권』. Ⅰ. 서론
Ⅱ. 본론
1. ‘질병, 낙인 : 무균사회와 한센인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5.08.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