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판단력 비판』. 이석윤 역. 서울 : 박영사, 1996.
J. 호이징하.『호모 루덴스』:놀이와 문화에 관한 연구. 김윤수 역. 서울 : 까치, 1994.
M. 하이데거.『예술작품의 근원』. 오병남 외 역. 서울 : 경문사, 1990.
T.W. 아도르노.『미학이론』. 홍승
사상사 개설」.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2
Chadwic, Henry. 「초대교회사」. 박종숙 역 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9.
Bromily, Geoffrey W. 「역사신학개론」. 김해연 역 서울: 도서출판 은성. 1993.
Leve, J. L. 「기독교 교리사」. 서남동 역. 서울: 대한
비판정신, 강대석 저, 학문사, 1997, 서울, p.191, 18
근대철학사-데카르트에서 칸트까지, R. 샤하트 저, 1993, 미국, p.35
철학, 어떻게 할 것인가, SM.엥겔 저, 문예출판사, 1992, LA, p.338
철학과 굴뚝청소부, 이진경 저, 새길, 1994, 서울 p.48
어떻게 철학을
견해 133
1. 추상성과 현실 간의 간극 133
2. 다양한 학파와 의견의 상이성 134
3. 철학적 사고의 적용 한계 134
4. 사회적, 문화적 차원의 무시 135
5. 철학교육의 한계 135
6. 철학적 논쟁과 정책 결정의 어려움 136
7. 실용성과 이론 간의 괴리 1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