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서지역의 지방세력
1. 패강진의 설치
2. 지방세력의 성장과 활동 양상
Ⅱ. 청주지역의 지방세력
1. 신라 말 청주 지방세력
2. 고려건국 전후의 청주 지방세력의 동향
3. 고려시대 청주 지방세력의 재편성
Ⅲ. 나주지역의 지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치하여 서 남해 지역을 통제하려 했다. 그 이유는 패강진처럼 ‘鎭’은 군단적인 성격을 지니면서도 행정적인 기능이 있고, 또한 중앙의 직접 통제를 받았던 특성을 고려했기 때문일 것이다. 김호범,「신라 흥덕왕대의 청해진 설치 배경」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9.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치하는 등 민심수습에 노력하였다. 그러나 887년(진성여왕 2) 2월 숙부이자 남편이었던 상대등 위홍이 죽자 정치기강이 갑자기 문란해지기 시작하였다. 이와 함께 대야주에 은거하던 왕거인의 국왕 비판 등이 있었으며, 888년부터는 주·군으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10.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치, 대문예 망명
당 견제 : 일본(727)-돌궐, 등주 공격(장문휴)
당의 대응 : 당-신라(733), 대문예의 공격
3. 문왕 (대흠무, 737-793, 대흥)
요동으로 영토 확장 (←당 안사의난)
- 중경(영승유적→현덕부) → 상경 용천부 → 동경 용원부
유신단행 : 황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5.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설치 및 서요등으로 나타난 중국 동북지역의 변역과 여진을 포함한 고구려계 발해유민의 고급인력을 이용하여 후백제와의 투쟁에서 승리 할 수 있었다.
고려태조는 북진을 추진함에 있어 동북방에서 살필수 있는 바와 같이 패강진출신으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