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태조의 북방정책 1(말갈족의 독립화 경향과 여진족의 흥기)
3. 태조의 북방정책 2(변화하는 대륙정세에 대한 대처)
4. 결론
2. 태조의 북방정책 1(말갈족의 독립화 경향과 여진족의 흥기)
3. 태조의 북방정책 2(변화하는 대륙정세에 대한 대처)
4. 결론
본문내용
한 지역에서 거란의 피정복민내지는 발해의 유민으로서 고려의 북방경영에 있어 문제거리로 등장하였다. 거란과 고려의 중간에 위치한 여진의 지리적위치도 중요하지만 북진대상이었던 여진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대거란 방--와 후삼국 통일에 이용하려 했던 고려로서는 대여진정책에 중점을 두지 않을 수 없었다. 특히 발해 멸망과 동단국의 설치 및 서요등으로 나타난 중국 동북지역의 변역과 여진을 포함한 고구려계 발해유민의 고급인력을 이용하여 후백제와의 투쟁에서 승리 할 수 있었다.
고려태조는 북진을 추진함에 있어 동북방에서 살필수 있는 바와 같이 패강진출신으로 독립된 세력으로 활약했던 윤선의 세력이나 순식의 세력을 포섭, 흡수한뒤에 그들을 통해 대여진정책을 취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고려건국이전인 신라하대 이미 서북지역에서 한민족과 여진족을 포함해서 막강한 세력을 형셩했던 패강진세력이 궁예에 일차보 복속되고 그 뒤 고려건국과 동시에 그 기슨이 고려에 전해지게되어, 고려는 이를 바탕으로 서북면 지역에서의 적극적인 여진 족 정벌을 통한 북진을 시도하였다
따라서 서북 방면의 영토 복상과는 달리 동불지역은 통일신라의 구계로부터 별 진보를 보이지 지못하게 되었다. 다른 한편 여진 및 발해 유민세력을 이용하여 후삼국 통일에 성공할수 있었으면서도 발해고토에 거란이 세웠던 동단국의 서요로 말미암아 나타났던 구발해의 동반부지역에서의 힘이 공백기를 후백제와의 투쟁으로 말미암아 충분히 이용하지 못해 양주 회복의 호재를 상실해야만 했을 것이다.
참고 서적
최규성, <<고려초기 여진문제의 발생과 북방경영>>백산학보 제 26호 (1981).
고려태조는 북진을 추진함에 있어 동북방에서 살필수 있는 바와 같이 패강진출신으로 독립된 세력으로 활약했던 윤선의 세력이나 순식의 세력을 포섭, 흡수한뒤에 그들을 통해 대여진정책을 취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고려건국이전인 신라하대 이미 서북지역에서 한민족과 여진족을 포함해서 막강한 세력을 형셩했던 패강진세력이 궁예에 일차보 복속되고 그 뒤 고려건국과 동시에 그 기슨이 고려에 전해지게되어, 고려는 이를 바탕으로 서북면 지역에서의 적극적인 여진 족 정벌을 통한 북진을 시도하였다
따라서 서북 방면의 영토 복상과는 달리 동불지역은 통일신라의 구계로부터 별 진보를 보이지 지못하게 되었다. 다른 한편 여진 및 발해 유민세력을 이용하여 후삼국 통일에 성공할수 있었으면서도 발해고토에 거란이 세웠던 동단국의 서요로 말미암아 나타났던 구발해의 동반부지역에서의 힘이 공백기를 후백제와의 투쟁으로 말미암아 충분히 이용하지 못해 양주 회복의 호재를 상실해야만 했을 것이다.
참고 서적
최규성, <<고려초기 여진문제의 발생과 북방경영>>백산학보 제 26호 (198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