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풍물굿이란?
2. 풍물굿의 기원
3. 농악과 풍물굿
4. 풍물굿의 본질
5. 풍물굿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점
6. 풍물굿에 유입된 요소
7. 풍물굿과 두레
8. 유형과 지역적 분류
9. 황두와 두레
10. 두레와 모내기
11. 두레와 일과 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풍물굿 연구’, 학민사, 1999.
김헌선, ‘풍물굿에서 사물놀이까지’, 귀인사, 1991.
김헌선, ‘김헌선의 사물놀이 이야기’, 풀빛, 1995.
문호연, ‘연행 예술 운동의 전개’, ‘문화 운동론’, 도서출판 공동체, 1985.
이종진, ‘풍물굿의 가락구조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굿의 개방성은 아주 혁명적이다. 굿은 공연자들이 청관중을 굿판 안으로 끌어들여 공연자들로 전환시켜버린다. 굿은 이러한 속성을 본질적으로, 구조적으로 가지고 있다.
넷째, 굿을 위한 ‘준비 과정’, ‘공연 과정’, ‘공연 이후 과정’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7,000원
- 등록일 2006.0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풍물을 흔히 4가지로 구분하여 전라우도굿, 전라좌도굿, 영남매구, 웃다리풍물로 부르는데 이것은 정확한 기준에 의하여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생활권별로 편의상 구분을 한 것으로 풍물이 기본적인 형식이나 본질적인 차이는 없는 것이다.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7.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본질적으로 그 틀이 풍물굿의 기본구조를 벗어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봅니다.
\'삼도농악\'의 경우 오채 - 좌질굿 - 우질굿 - 풍류 - 굿거리 - 덩덕궁이의 흐름은 호남우도 농악의 틀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으며 마당일채 - 자진가락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