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결 사업에 대한 뚜렷한 움직임은 보이고 있지 않다. 물론 부산항과 나진을 해운수송으로 이으려고 하는 정책은 선보였지만, 이것은 한반도종단철도연결의 미봉책이 아닌가 싶다. 둥북아 경제협력과 유럽지역과의 교류를 위해서는 분명히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4.1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단철도(TKR) 연계사업 , 러
시아의 전력지원, 구소련이 건설한 북한 산업시설의 현대화를 위한 기
술지원, 극동지역 개발사업의 공동참여 등과 같은 경제협력이 구체적
으로 논의되고 있다.
시베리아횡단철도(TSR)-한반도종단철도(TKR) 연결 문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1.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철도망 연결 추진방안」, 2000
― 박원호, 「경의선 복원과 시베리아횡단철도의 미래」,2000
― 서광석, 「대륙철도와의 연계를 위한 21세기 한국철도망 구축방안」, 2000
― 안병민, 「한반도종단철도(TKR)가 시베리아횡단철도(TSR) 활성화에 미치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04.1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결의 의미
1) 한반도 중심 시대의 개막
2) 민족경제의 균형발전과 경제공동체 형성
@경의선 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
1. 대내적 효과
1) 남북경제에의 효과(TKR;한반도 종단철도의 형성)
2. 대외적 효과
<대륙횡단 철도망 노선도>
@ 결 론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4.08.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철도장관회담(TKR-TSR 연결 사업) 및 남·북·러 3자회담에서 남한의 목포에서 서울 북한의 원산과 두만강역을 지나 극동러시아와 시베리아를 거쳐 유럽으로 가는 시베리아횡단철도와 한반도종단철도를 연결하는 사업 재확인하였다. 러시아는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3.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