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위 사령부
호위사령부는 북한의 공안, 첩보기관으로는 국가안전보위부를 시작으로 인민보안부, 군 보위사령부가 3대 기관으로 분류된다. 또 대외업무를 담당해온 노동당 대외정보조사부(35실)와 이를 확대 개편한 정찰 총국, 통일전선부 등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5.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령부, 호위사령부 보위국, 평양방어사령부 보위부가 지적된다. 인민무력부 보위사령부는 1980년대 말까지 \"인민무력부 보위국\"으로 존재해 오다가 1992년 보위사령부로 승격하였다.
인민무력부 보위국이 보위사령부로 개편되기 이전에는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8.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위사령부, 42만명, 상시적으로 즉각동원가능
전략무기-미사일구분
SCUD
노동미사일
대포동1호
대포동2호
B
C
최대사거리km
300
500
1300
2500
6700
위협범위
대전권
남해안
오키나와
일본/대만
알레스카
탄두중량 kg
800
600
500
500
1000
명중오차 m
1000
1300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호위사령부 소속 장교로 등용되어 위에서 이야기한 여성들이 하는 모든 일을 같이 수행하며, 28세 정도 되면 제대하여 김부자 전용별장 관리인으로 일하거나 국가에서 정해주는 간부집 딸과 결혼해야 한다. 이들 기쁨조 출신 처녀들은 물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령부와 공동으로 중앙구호위원회를 조직하여 이재민 구호정책을 결정하였고 지방에도 구호위원회를 조직하였다. 하지만 재정적 한계로 보호의 수준은 최소한의 생명유지에 필요한 수준이었다.
외원기관은 한국정부와 국제기관, 미국의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5.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