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모음 /j/로 끝나는 체언 뒤
형태
‘-애’
‘-에’
‘-예’
‘아·니 :뮐·’의 ‘아니’는 부정 부사이며 ‘뮐;’는 ‘움직이다’의 옛말인 ‘뮈다’의 어간 ‘뮈-’ 뒤에 이유를 나타내는 종속적 연결 어미 ‘-ㄹ’가 실현되었다.
“곶 :됴코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2장 / 본사 제3장~109장 / 결사 - 제110장~124장
결사 : 제125장
(1) 전체구조
「용비어천가」의 창작자로 알려져 있는 정인지, 권제, 안지 등은 <용가>의 서(序), 전(箋) 및 발(跋)에서 그 구조에 대해서는 언급한 바가 없고, 소(所)찬(撰)내용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8.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가>는 음악에 얹어 부르기 위해 지었다. 세종 27년 唐樂에 맞추어 보려고 시도한 일이 있었으며, 세종29년 2월에 수정, 완성하고서 동년 5월에는 관현에 調音하여 致和平, 醉豊亨, ■來儀, 與民樂 등의 악보를 만들어 公私燕饗에 쓰게 한 것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2장 현대가구의 분석(가구의 분류)
1. 가정용가구
① 혼례용가구
② 학생용가구
③ 거실용가구
2. 사무용가구
① 시스템가구
② 중역용가구
③ 소호가구
3. 부엌용가구
① 주방용가구
② 식당용가구
4. 공공용가구
5.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