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세기의 소설비평」, 『어문논집』 35권, 민족어문학회, 1996, 243-266쪽. 1. 조선후기 고소설의 흐름
2. 17세기 소설비평의 상황 및 여건
3. 17세기 고소설의 유형별 비평
⑴ 전쟁 경험의 소설화와 비평
⑵ 장편소설의 비평
4. 결론
5. 참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2.0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국고전문학회, 1995.
양민정, 「대하 장편가문소설에 나타난 여성인식과 의의」, 연민학회, 2000
양민정, 「초기 가문소설의 형성과 여성의 가문의식」, 한국고소설학회, 2001.
임형택,「17세기 규방소설의 성립과《창선감의록》」『동방학지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 내용들이 중점적으로 표현되는 것이다. <구운몽>은 현실적 인간 세계를 벗어나 환상적 공간에서의 사건, 전개가 내용의 중심을 이루고 있으므로 전기적 성격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17세기 고소설의 전체적인 흐름이자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20.09.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소설연구』5, 한국고소설학회, 1998.
이석호, 「이백 시 연구-도교적 특색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1.
이영주편저 『가난한 사귐의 노래-두보』. 솔, 1998.
이종묵,「16-17세기 한시사 연구-시풍의 변화양상을 중심으로」,『정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글로 되어 있는 경우.
이 학계에 소개되었고, 그 후 김일근 교수에 의해 또 하나의 국문본 <주생전>이 공개되었다. 이복규, <우리 고소설 연구>, 역락, 2004, 33쪽.
특히 이복규의 이본은 필사연대가 17세기 후반임이 밝혀졌다. 1593년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8.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