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맞춤법에서는 제외됨
16. 통일안 총론 2의 표준어에 관한 규정은 따로 표준어규정이 마련됨으로써 삭제됨
※참고문헌
이희승외(2004). 새로 고친 한글 맞춤법 강의. 신구문화사 1. 1933년에 제정된 한글 맞춤법
2. 1989년에 제정된 한글맞춤법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933년 <한글맞춤법통일안>을 제정할 당시에 대체로 이에 준하여 자음의 이름을 붙인 것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자모(字母)'는 글자 그대로 '글자'의 '모태(母胎)'가 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한 개의 음절을 자음과 모음으로 분석하여 적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700원
- 등록일 2007.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 )으로 열매를 맺은 것이다. 조선어학회는 그 뒤 표준어를 제정(1936년)하였고, 국어 사전을 편찬 (1947~57년 '큰 사전' 6권)하였다.
1933년에 발표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채택한 문자 체계는 종래의 관용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800원
- 등록일 2009.06.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맞춤법>에 대하여 왜 고쳐야하는가 하는 이유를 이해하는데 <한글
맞춤법>이 탄생하게 된 역사적 과정을 살펴보는 것도 커다란 이유 중의 하나가 된다.
<한글 맞춤법>은 1933년 10월 19일 당시 조선어학회(현 한글학회)의 임시총회를 거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맞춤법의 대상에서 제외 (2) 소리대로 표준어로 인정되는 말은 그 발음대로 충실히 적어야 함 (3) 어법에 맞아야 함 독서의 능률과 관련되는 항목으로 현행 맞춤법에서 가장 핵심 3. 소리나는 대로 적지만 어법에 맞도록 한다의 의미 ① 1933년
|
- 페이지 4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5.22
- 파일종류 아크로벳(pdf)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