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2년 7월 조치의 일환으로써, 국정 가격을 농민시장 물가 수준으로, 국가부문 노임을 현실 물가 생계비 수준에 맞추어 대폭 인상했다. 새로운 가격 제정의 중심이라고 간주된 쌀의 국정가격은 8전에서 농민시장가격과 거의 동일한 44원으로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치를 도입한 1993년부터는 사회주의체제를 전환하였다고 평가된다. 북한의 경우 정권수립부터 2001년까지를 전통사회주의로 구분하고 2002년 7월의 71조치를 기점으로 개량사회주의로 들어섰다고 볼 수 있다. 이는 71조치에 의해 물가를 개혁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치의 분석 및 평가,’ 『KDI 북한경제 리 뷰』, 2002년 8월호.
남성욱, “2002년 북한의 임금과 물가인상에 따른 주민 생산.소비행태의 변화에 관한 연구” 「7.1경제관리개선조치의 평가와 향후 전망」, 고려대 북한학연구소. 2002년 7월.
박광작,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8.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치 2주년 평가와 전망, 한국개발연구원
◇ 신석호(2004), 북한의 경제 개혁에 관한 연구 : 7·1 경제관리 개선조치와 종합시장 도입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 이통재(2005), 북한 경제개혁에 관한 연구 : 2002년 7, 1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를 중심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002년 7월에 단행된 이른바 71 경제관리개선조치(the July First Program, i.e. the program for improving economic management methods introduced on July 1, 2002) 는 암시장에서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이라는 측면도 있다. 71 경제관리개선조치는 가격과 임금의 대폭적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