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65kV 송변전 시설의 상업운전이 이루어졌다.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기가 765kV 송전망을 타고 전달됐다. 이로 수도권 지역의 전력수송난을 해결함은 물론, 아시아 최고의 전력망을 갖추게 됐다. 765kV 송전망 격상 프로젝트가 성공하자 기술 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8.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765KV 초고압 송전선로를 추가로 건설하겠다고 밝혔다.
이 지역은 한반도 남단에서 환경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곳이며 민족의 대동맥 백두대간이 통과하는 곳으로써 송전탑 건설과정에 심각한 환경파괴가 우려된다.
더욱이 애초 한전에서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송전탑 건설의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1(2): 88-89.
- 이선우ㆍ홍수정(2012), “송ㆍ변전설비 건설갈등해소를 위한 과정과 선택: 밀양 765kv 송전선로건설관련 갈등조정위원회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6(2), 183-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6.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송전방안, 한국기술사회
남영우(2009), 송전용량이 전력시장 균형에 미치는 영향 해석,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민석원 외 5명(2001), 765㎸ 송전선로용 특수 다중도체 방식의 코로나 잡음특성 및 전계분포 해석, 대한전기학회
이정균 외 8명(2009),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765KV 시험선로 준공
○ 1994.06.25
220V 승압 1,000만호 돌파
○ 1995.03.09
한반도에너지기구(KEDO)발족
○ 1995.05.01
케이블 TV 상업방송 개시
○ 1997.01.31
국내최초 345kv 지중 송전선로 준공 - 미금 ~ 성동변전소간
○ 1997.08.01
발전설비용량 4,000만kW 돌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