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PS는 DPS의 중장기적 성장을 예측하는 출발점이 된다.
배당성장모형에서...P = D/(r-g) 에서 g는 지속가능 성장률이 된다.
ROE=세후당기순이익/기초자기자본으로 정의하자.
이익처분 중 사외유출은 배당을 통해서만 이루어지고
기중에 증자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경우, EV/EBITDA의 수치는 2022년 3월 기준으로 3.57로 삼성전자에 투자했을 경우, 투자원금을 회수하는데 3년 7개월 정도가 걸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1. 시가총액
2. 영업이익과 순이익
3. PER, BPS, PBR
4. EPS
5. ROA, ROE
6. PSR
7. EV/EBITDA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2.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따라서
기존의 주당 순이익 증가율, 자본이익율(ROE)과 함께 기업의 가치를 평
가하면 보다 유효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1. EPS(Earnings per share)
2 . EVA(Economic Value Added) 경제적 부가가치 모형
2 . MVA(Maket Value Added) 시장부가가치 모형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EPS(Earning Per Share, 주당순이익)
EPS는 Earning Per Share의 약자로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당기순이익)을 기업이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이다. 즉, 다시 말하면 ‘EPS=당기순이익/주식수’로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라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0.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9
5.8
-83.33
441.2
-11.70
-12.2
-80.32
5.3
5.3
-8.62
176.4
-22.69
-3.5
71.31
7.9
5.8
9.43
ROE(%)
EPS(원)
증가율
BPS(원)
DPS(원)
PER(최저/최고)
PBR(최저/최고)
배당수익률
15.94
436
-82.56
2,181
70
1.81/2.82
0.36/0.56
6.19
2.70
76
-473.68
2,142
70
13.62/28.62
0.48/1.02
4.02
2.47
70
-7.89
2,142
70
17.1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