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A가 아니고 실험과정 중 RNA 또는 다른 단백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서 생긴거라 생각된다.
PCR을 위해 D1S80 프라이머가 이용되었는데, VNTR유전자 중 D1S80 좌위를 사용하였기 때문이며 D1S80 좌위는 반복서열이 16개로 구성되어 있는 minisatellite
DNA)
- 농도는 1ug/100ul까지 가능한데 대개 0.4ug/100ul의 농도로 사용하면 증폭이 잘
된다. 처음에는 충분한 양으로 시작하여 원하는 결과가 나오면 DNA양을 차차
줄여 반응을 최적화 한다.
- plasmid가 genomic DNA보다 훨씬 PCR이 잘되며 일반적으로 50-500b
PCR의 기본 원리
Watson, Baker, Bell, Gann, Levine, Losik // 2010년 2월 18일 // 왓슨의 분자생물학 6판//p746-748
Watson, Baker, Bell, Gann, Levine, Losik // 2010년 2월 18일 // 왓슨의 분자생물학 6판//p748 Abstract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
Disc
갔을 경우 효소에 의해 다시 잘려, agarose gel로 전기영동 하였을 때 vector와 insert, 이렇게 2 band로 나오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DNA
10㎕
10×H buffer
2㎕
NdeⅠ
1㎕
XhoⅠ
1㎕
DDW
6㎕
total
20㎕
다시 PCR로 확인해 보았다.
premix에 다음과 같이 넣고 PCR을 했
PCR, Western-blot, 플라스미드 DNA 정제, 유전형질의 전환(Tranfomation), ELISA assay, transfection, 단백질추출, 약물효능평가, 동물실험을 진행...(이하생략) - 자기소개서
1. 동아ST를 선택한 이유와 입사 후 회사에서 이루고 싶은 꿈을 기술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