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어동작 신호의 현재치에 비례하는 조작량을 내는 동작
3) 비례+적분동작(PI동작)
4) 비례+적분+미분동작(PID동작)
- 적분동작(INTEGRAL CONTROL ACTION, 1동작) :
제어동작의 적분값에 비례하는 조작량을 내는 제어동작
- 미분동작(DERIVATIVE CONTR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9.06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어량과 완전히 일치하
지 않는 상태로 되고 만다. 이런 미세한
오차를 없애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적분
제어이다.
※ 미분제어의 특징 (PID제어)
- PI 제어로 실제 목표값에 가깝게 하는
제어는 완벽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응답
속도의 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어에서의 오프셋량까지는 보정이되나 시스템의 응답속도가 보통 너무 늦다고 말할 수 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비례-적분제어동작에 미분제어동작을 포함시키게 되는 것이다.
2.2.5 비례-미분-적분 제어동작(PID동작)
2.2.4절에서 살펴보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어기 이득을 변경시키며 그래프의 변화를 확인한다. 초기상태는 비례 이 득이 10, 적분 이득이 0.03 이다. 비례 이득을 7로 또는 적분 이득을 0 으로 변경시켜 변화에 따라 카트의 위치 신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한다. 이 때 비례이득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어일 경우 Controller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Settling time은 이고, 이다.
와 를 곱하여 얻어진 는 다음과 같다.
Closed-loop system에서 feedback이 1인 경우의 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 조건은 이므로 이를 만족하는 와 의 값은 다음과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