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는 Input Return loss는 -S11 이 되고, Output Return loss는 -S22가 된다. S파라미터의 반사를 의미하는 S11, S22, S33 .. 등등은 들어간 전력에 비해 반사된 전력이 작기 때문에 dB 값에서 항상 -부호를 가지게 된다(능동회로에선 발진이 있는 경우에 한해 반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2.08.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그 파동이 공간상에서는 움직이지 않고 시간에 대해서만 변화하는 것이다. 전송선 내부에서는 입사파와 반사파가 매우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1. VSWR (전압 정재파비) 이란?
2. VSWR의 중요성
3. VSWR이 미치는 영향
4. Return Loss와 VSWR의 관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2.03.23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return loss(dB)}
그림30. simulation 결과3 {return loss(smith chart)}
3). 제작 및 측정
이후 실제 제작을 위한 기판 제작에 들어갔다. ideal line으로 연결되어 있던 소자를 strip line을 써서 연결하였다. line은 50옴 라인이 되도록 두께를 조절하였으며 가급적 그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Return Loss
그림22. Measured Return Loss
: 먼저 Return Loss이다. 많은 튜닝 작업을 통해 시뮬레이션과 유사한 RL 값을 얻었는데 1.575GHz에서 약 15.4dB, 2.63- 2.655GHz 구간에서 17dB이상의 좋은 특성을 보인다.
3.2.3. Measured Smith Chart
그림23. Measured Smith Chart
: 측정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1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loss= \'MSE\', metrics=[\'accuracy\'])
import os
path = \"C:/tmp/logs/\"
if not os.path.isdir(path):
os.mkdir(path)
logdir = path + \"project\"
callback = tf.keras.callbacks.TensorBoard(log_dir=logdir, update_freq=\'epoch\',
histogram_freq=2, write_images=True)
ret = model.fit(x_train, y_train, epo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4,500원
- 등록일 2022.08.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