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수면의 조절중추
1)망상활성계(reticular activating system, RAS)
- 뇌간 상부에 위치
- 연수, 뇌교, 중뇌를 거쳐서 시상하부까지 올라감.
많은 신경세포와 섬유들을 포함
→ 자극을 대뇌피질과 척수로 전달.
시각, 청각, 통각, 촉각 자극의
수면생리 수면영향물질, 수면조절중추 망상활성계, 수면생리, 수면조절중추, 수면영향물질, 망상활성계, 연수동조영역, dopamine, serotonine, norepinephinephrine, acety,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6.11.1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serotonine, dopamine, histamine, NE release ->
vomiting center 자극
3) parynx, upper GI의 peripheral receptor 자극 ->local injury -. Serotonine, histamine, opiartes, dopamine release -.receptor 자극 -> vomiting center
4) cerebral cortex: anticipatory emesis와 관련
43. Antiemetic drug의 사용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e
Sertraline
Citalopram
Esciatalopram
Serotonine Reuptake Inhibitors(SSRI)는
가장 중요한 치료제이다.
우울증이 없는 경우에도 Citalopram과 Sertraline가 행동장애에 유용하다
Cholinesterase inhibitors
Donepezil
Rivastigmine
Galantamine
일부 연구에서 행동장애에 유효하다는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0.10.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드물다.
<소인>
1) 생물학적 유전, 기질이나 dopamine, serotonine, norepinephrine 대사 등이 원인일 수 있다.
2) 가족 훈육, 체계화, 제한 설정 시 부모의 문제.
- 다른 사람에 대하여 반항적이고 적대적인 행동을 하는 등 충동 조절 문제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360원
- 등록일 2013.10.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serotonine) : 수면이나 체온조절, 기분 변화와 관련되며, 천연적으로는 바나나, 토마토 등에 함유되어 있다.
5/ 아미노(amino acid) : 뇌뿐만 아니라 신체조직 전반에서 발견되는 단백질의 대사산물이며, 많은 뉴런들이 빠른 흥분과 억제를 전달하기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7.1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