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습의 금오신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시습의 금오신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 김시습의 생애 ( 1435∼1494 )

2 . 전등신화 - 구우

3 . 금오신화의 작품
① 만복사저포기
② 이생규장전
③ 취유부벽정기
④ 용궁부연록
⑤ 남염부주지

4 . 금오신화의 특징

5 . 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애를 보냈는데, ≪ 금오신화 ≫ 는 그러한 그의 생애와 아주 밀접하게 관련된 자서전적 성격이 농후하다.
한편, ≪ 금오신화 ≫ 는 이른 시기의 소설인 만큼 소설장르로서의 한계 또한 없지 않다. 경이적인 세계관을 보여주는 전설적 요소가 남아 있다든가, 소설에서는 바람직하지 못한 작품 외적 요소, 이를테면 기자조선의 멸망과 같은 역사적 사실이나, 용궁 · 염부주 같은 특정한 민속적 사실이 생경하게 개입되어 있다든가, 서정시의 과다한 삽입과 갈등의 미약성이라든가 하는 것은 초기소설이 지닌 장르적 불안정성으로 간주된다.
5 . 금오신화 (金鰲新話) 의 문학사적 의의
첫째, 주인공들이 한결같이 재자가인적(才子佳人的) 인물이라는 점
둘째, 문장 표현이 한문 문언문(文言文)으로 사물을 극히 미화시켜 표현한 점
셋째, 일상적ㆍ현실적인 것과 거리가 먼 신비로운 내용을 그린 점
이는 전기 소설(傳奇小設)의 일반적인 성격이며 이런 점에서 중국 소설 '전등신화(剪燈新話)`의 영향이 있었음을 보게 된다. 나아가서 이들 작품 세계는 인간성을 긍정하고 현실 속에서 제도(制度)ㆍ인습(因襲)ㆍ전쟁ㆍ인간의 운명 등과 강력히 대결하려는 인간의 의지를 표현하고 있는 점에서 이 작품을 높이 평가할 수 있다. 한편, 한국 소설의 발달 과정에서 볼 때, 그때까지 조신 설화(調信說話)에서 최치원(崔致遠) 설화를 거쳐 '국선생전(麴先生傳)`에 이르러 소설의 단계에 접근하였으며, <금오신화>에 이르러 소설이라는 문학 양식을 확립시켰고, 새 출발의 전기를 맞게 되어, 그 이후 소설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참고 문헌
매월당집 금오신화 (이가원 역주, 통문관, 1959)
매월당 김시습연구 (정 설 동, 신아사, 1965)
한국소설의 이론 (조동일, 지식산업사, 1977)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박일용, 집문당, 1993)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박희병, 돌베개, 1997)
금오신화해제 (최남선, 계명 19, 1927)
김시습의 생애와 사상 (정병욱, 국문학산고, 신구문화사, 1959)
현실주의적 세계관과 금오신화 (임형택, 국문학연구 13, 서울대학교, 1971)
금오신화고찰 (금일렬, 조선전기의 언어와 문학, 형설출판사, 1976)
김시습 글쓰기방법의 사상적 근거연구 (최귀묵, 서울대학교박사학위론문, 1997)
※참고 사이트
http://100.naver.com/100.php?id=31442&cid=AD1043311951379&adflag=1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1.17
  • 저작시기200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20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