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금오신화(金鰲新話)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문학] 금오신화(金鰲新話)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
1. 줄거리
2. 취유부벽정기에 나타난 작가의식

남염부주지 (南炎浮洲志)
1. 줄거리
2. 남염부주지에 나타난 작가의식

용궁부연록 (龍宮赴宴錄)
1. 줄거리
2. 용궁부연록에 나타난 작가의식

※참고 : 금오신화의 특징

본문내용

있고, ‘이생규장전’은 고려 말 홍건적의 난을 배경으로 삼았다. 한편 ‘취유부벽정기’는 옛 도읍 평양을 무대로 삼았다. ‘남연부주지’는 조선 초에 유행하던 지옥 신앙을 소재로 삼았으며, ‘용궁부연록’은 비현실적 공간을 배경으로 삼았으나 그 개성의 박연폭포에 연관된 용 전설을 소재로 삼고 있다.
둘째, 귀신, 염왕, 용왕, 염부주, 용궁 같은 비현실적인 소재를 이용하여 현실적인 것의 의미를 생생하게 드러내었다. 비현실적 이야기로 허구화된 이야기 속에 당시의 지식인 및 민중의 심리와 사상이 투영되어있다.
이를테면 ‘만복사저포기’의 중심내용인 귀신과의 결연담은 최자의 ‘보한집’에 나오는 귀교(鬼交)의 이야기를 계승한 측면이 있다. 그리고 ‘남염부주지’에서 박생이 염왕으로 취임하는 것은 이색적 허구장치가 아니라, 오히려 민간의 전승을 계승한 것이다. 또 ‘용궁부연록’에 등장하는 조강신(祖江神), 낙하신(洛河神), 벽란신(碧란神)은 동아시아의 수신(水神) 사상의 계보를 잇되, 조선민중의 수신사상을 직접 반영하고 있다.
셋째, 문어체 문장이나 시는 대상을 서정적으로 미화하고 등장인물의 심리, 사건 전개의 암시, 인물과 사건에 대한 작가의 심정적 평가를 섬세하게 드러낸다. ‘남양부주지’를 제외한 다른 작품 속에서 시(절구, 율시, 배율, 고시, 잡언장고시)나 사(詞), 초사체(楚辭體), 악장(樂章)을 이용하여 정경과 사건의 흐름을 묘사, 서술, 암시하였다. 특히 ‘만복사저포기’에서 여러 여인들의 심리를 각기 다른 시풍 속에 담아낸 것이 문학사적 수사를 잘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용궁부연록’에서는 곽개사, 현선생의 자기소개 내용을 가전체의 방백으로 처리하여 가전체 문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연극적 효과를 나았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전영진, [한국고전문학선 금오신화, 연암소설], 홍신 문화사, 1995, p11.
결말의 처리방식이 특이하다. 주인공은 끝에 가서 하나같이 세상을 등지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고전소설이 일반적으로 행복한 결말을 이루는 것과 대조를 이룬다. 금오신화의 결말은 그릇된 세계의 질서를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결단의 표현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주인공이 대체로 작자 자신을 본보기로 하여 이루어진 인물이고, 따라서 이야기 또한 자서전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많은 사건이 특정한 역사적 사실을 본보기로 한 것 으로 보인다.
또한, 김시습의 해박한 지식과 깊은 문학적 소양을 이 작품의 또 하나의 특징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금오신화 매 작품마다 여러 고시(古詩)나 패러디한 작품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이는 작자 자신의 문학적 소양을 과시하려는 듯 보일 수 있으나, 이는 작품의 전개상 필요한 것으로 그리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1. 설중환, 『금오신화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3.
2. 김시습·설중환,『금오신화』, 소담출판사, 2003.
3. 심경호, [한국고전총서2 금오신화], 홍익출판사, 2000.
4. 전영진, [한국고전문학선 금오신화, 연암소설], 홍신 문화사, 1995.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8.18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16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