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스와 베버의 계급이론 비교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본 맑스의 오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맑스와 베버의 계급이론에 대한
기존 학자(학파)들의 논의와 그에 대한 비판
ㆍㆍㆍ 2.1. 맑스의 계급이론은 경제결정론인가?
ㆍㆍㆍ 2.2. 계층이론에서 제기한 계급이론 무용론
ㆍㆍㆍ 2.3. 루카치의 역사와 계급의식
ㆍㆍㆍ 2.4. 신맑스주의와 신베버주의

3. 맑스와 베버의 계급이론
ㆍㆍㆍ 3.1. 맑스의 계급이론
ㆍㆍㆍ 3.2. 베버의 계급이론
ㆍㆍㆍ 3.3. 맑스와 베버의 계급이론의 비교

4. 사회민주당에 대한 맑스의 비판의 오류

5. 나가며

본문내용

다시 베버로 돌아가 정치의 강조로 이어진다. 조정의 장에서는 정치적 영역을 통한 권력의 창출과 계급을 비롯한 여러 집단들의 이익의 추구, 분배과정이 강조된다. 따라서 루카치가 느낀 계급의식의 문제점ㅡ혁명적이지 못한 계급의식ㅡ과 베버의 정치적 영역의 강조는 절묘하게 맞아떨어진다.
“사회 민주당은 직접적인 결의사항으로서, 부르주아 세력의 강력한 그룹 재결성에서 밀려난 세력들의 이해관계를 잠정적으로 내세워준다. 그러나 이것은 내적으로 모순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프롤레타리아트는 이 세력에 예속되어 ‘그들의 혁명적 거점’을 상실하고 ‘민주주의의 묘한 성격’(a democratic twist)을 얻게 된다. 사회 민주주의는 또한 ‘자본과 임금노동 사이의 적대감을 약화시키고 그것을 조화롭게 변형시킨다.’(MESW 3권, Ⅰ, pp.423~4)”(Hall 1986, 48-49)
그런 의미에서 맑스가 위와 같이 계급의 타파에 나서지 않고 부르주아와 타협을 하려한다 하여 사회 민주당을 비판한 것은 문제가 있다. 혁명적 계급의식이 형성되는 예외적 상황을 매번 기대할 수는 없다. 지금 당장 마실 물이 없는데 내년에 꼭 비가 올 것이니 걱정 말라는 것은 타당치 못하다. 오히려 그에게는 한잔의 컵에 담긴 물이 더욱 절실하다. 계급이 소멸된 사회, 경제적인 불평등이 없는 사회를 이루는 것도 인류의 꿈이지만 그에 못지않게 계급적 불평등의 자그마한 해소 역시 중요하다. 여기서 위의 사회 민주당이 추구하는 바가 매도될 성질의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맑스가 혁명적 계급의 소멸을 추구하면서, 그와 다른 길을 걷는 사회 민주당에게 가하는 계급 구조를 고착화, 정당화 시킨다는 비판은 이러한 점에서 그 한계를 가진다. 맑스의 비판은 계급의 소멸이라는 목적적인 틀 속에서 이것 아니면 저것이라는 이분적 사고가 낳은 흑백논리의 오류인 것이다.
5. 나가며
루소는 직접민주주의를 꿈꿨다. 인민 모두가 사회의 주체이고 주권을 가진 존재이기를 원했다. 그리고 보통선거가 이루어짐에 따라 정치적인 면에 있어서 형식적으로나마 그 꿈은 달성되었다. 맑스는 경제적 불평등이 없는 세상을 모색했으며, 계급론을 발전시켰다. 그리고 그 계급론을 베버가 심화시켰음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베버의 계급론에서는 맑스의 계급론과 달리 계급의 해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 계급의 불평등을 앞에 두고도 그것을 와해시키려 하지 않았다. 베버는 계급 자체는 존재하고 있으며, 그것은 그 속에 존재하는 권력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방법으로서 이 불평등은 극복될 수 있다고 보았다. 베버가 관료제에서 권위 앞의 개인을 찾으려 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 있다. 그에 반해 맑스는 계급의 불평등이 가져오는 폐해를 경험했으며, 그 경험은 그만큼 끔찍한 것이었기에 계급 존재 자체를 없애기 위한 이론을 전개시켰다. 오늘날 우리는 맑스가 경험했던 때와 같은 극도로 나쁜 노동환경과 불평등을 경험하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많은 이들이 여전히 맑스의 생각에 경의를 표하는 것은 맑스의 이론이 우리의 사회에도 여전히 적용될 수 있을 만큼 경제적 불평등, 계급에 의한 불평등이 사회적 문제로 존재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신베버주의자 중 한명인 파킨Frank Parkin은 맑스주의 이론의 편협성을 비판하는 대표적인 학자이다. 즉 그는 현대 사회의 구조적 불평등을 바라보기 위해서는, 계급뿐만 아니라 인종, 성, 종교 등의 여러 불평등의 기준을 함께 살피고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홍두승 외 2001, 72) 이러한 입장에서 그는 사회적 폐쇄Social Closure라는 개념으로 이들 여러 불평등의 요소들을 동시에 다룰 수 있는 틀을 마련하려 하였다. 그러나 그도 베버와 마찬가지로 여러 불평등 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것’이 재산이나 자본소유로부터의 배제라고 평가하며, 맑스의 주장에 동의하고 있다. 사회의 불평등의 요소는 계급의 와해만으로는 해소될 수 없다. 그 단편적인 예로 경제적 불평등이 완전히 사라진 1960년대 북한의 경우에도 정치적 권위 앞에서 여전히 불평등의 구도는 존재했다. 계급의 구조의 와해와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 역시 별개이다. 한편, 신분제 사회였던 조선시대에 장애인들에 대한 편견이 없었다는 사실은 불평등의 다원적인 관계를 보여준다. 따라서 계급의 극복이 모든 것을 해결해주지 않음은 너무도 자명하다. 계급이론은 경제적 불평등과 거기서 파생되는 불평등의 극복에 관한 본질적인 해답을 모색하는 학문 분야인 것이다.
--- 參考文獻 -----------------
공제욱ㆍ박형준 저. 1989. 『사회계급론』. 11-102. 서울: 한길사.
김교환. 1984. “사적유물론의 마르크스적 이해.” 『국민윤리연구』 Vol.20, 31-55.
박정호. 1991. “사물화와 계급의식 - 루카치의 「역사와 계급의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철학연구』 Vol.29, 311-334.
홍두승ㆍ구해근 저. 2001. 『사회계층ㆍ계급론』. 서울: 다산출판사.
Anderson, Charles 저ㆍ박노영ㆍ허장 역. 1986. 『사회계급론 서설』. 16-71. 서울: 미래사.
Coser, Lewis A. 저ㆍ신용하ㆍ박명규 역. 2003. 『사회사상사』. 51-106, 265-318. 서울: 시그마프레스.
Giddens, Anthony. 1986. “베버의 계급론 - 마르크스 이론에 대한 비판.” Amin, Samir 저ㆍ박준식ㆍ한현옥 역. 『계급분석의 기초이론』. 66-80. 서울: 도서출판세계.
Hall, Stuart. 1986. “마르크스계급론 - 정치적 수준과 경제적 수준.” Amin, Samir 저ㆍ박준식ㆍ한현옥 역. 『계급분석의 기초이론』. 17-65. 서울: 도서출판세계.
Jonson, Dale. 1986. “계급분석의 현대적 시각 - 변증법적 분석방법.” Amin, Samir 저ㆍ박준식ㆍ한현옥 역. 『계급분석의 기초이론』. 113-139. 서울: 도서출판세계.
Marx, KarlㆍEngels, Friedrich 저ㆍ남상일 역. 1989. 『공산당 선언』. 32-155. 서울: 백산서당.
Rousseau, Jean-Jacques 저ㆍ박호성 역. 2003. 『에밀』. 서울: 책세상.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6.14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95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