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삼국통일과 한계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신라의 통일전쟁
1. 나당 연합군의 백제 공멸
1) 나당연합군의 지휘권
2) 전쟁 과정과 백제멸망
2. 나․당 연합군의 고구려 공멸
1) 전쟁 과정
2) 고구려 멸망
3. 대당전쟁
1) 당의 삼국지배 의지
(1) 당 삼국지배 구상의 변화
(2) 당의 삼국에 대한 기미지배
2) 나당전쟁 과정
(1) 나당전쟁의 원인
(2) 나당전쟁 전개
(3) 나당전쟁 휴전에 의한 영향

Ⅲ. 성과비판
1. 일통삼한 의식
1) 민족적 개념 정립
2) 백제․고구려 정벌
3) 지배층의 원활한 지배
2. 당과의 항쟁
1) 나당전쟁기 서역의 정세 변화
2) 당․토번전쟁의 격화와 나당전쟁의 개시
3) 나당전쟁의 반전과 소강
4) 토번의 내분과 나당전쟁의 종결
3. 삼국의 문화와 문물교류
1) 교역
2) 전쟁
3) 불교
4) 혼인

Ⅳ. 한계
1. 외세의 개입
1) 당의 개입과 삼국지배 의지
2) 고구려유민의 부흥운동
2. 영토의 축소
1) 나당전쟁 후 신라의 영역
2) 북방지역에 대한 지배력과 발해 건국
3. 불완전한 유민 포용
1) 신라의 백제인 포섭과 차별
2) 신라의 고구려인 포섭과 한계

Ⅴ. 맺음말

본문내용

서, 통일의 과정과 신라 통일에서 지적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기존 삼국통일의 성격을 재 고찰함으로써, 그것의 역사적 의미를 새로운 관점에서 재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인식하고 있고, 국정교과서에 쓰여 있는 신라의 삼국통일은 고조선 이래로 우리 민족 최초의 통일이라는 점에서는 의의가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전근대 민족의 형성이라는 정치적 계기가 되었다는 사실과 삼국의 각축에 따른 한국고대문화의 전면적 붕괴를 막았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외세를 끌어들여 통일의 자주성이 훼손되었고, 고구려 영토를 통합하지 못한 채로 일부 지역만을 통일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는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고구려 영토를 상실한 뒤, 그 영토 회복의 의지는 너무도 미약했다. 그 결과, 옛 고구려영토에 발해가 건국되면서 다시 남북국으로 분립되었고, 고구려 영역 대부분이 발해 영역이 되었다. 그리하여 ‘통일신라’ 라는 용어에 대한 재고가 대두되었다.
또한, 불완전한 유민 포용의 문제도 있다. 나당전쟁에서의 유민 포섭은 전쟁 상황과 정치적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하지만 백제와 고구려의 붕괴가 곧 백제고구려와 신라의 통합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게다가 신라 골품제 사회의 폐쇄적 성격은 고구려·백제 유민에게도 적용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고구려·백제 유민 융합에 실패했고, 신라인과 융화되지 않은 고구려·백제 유민들은 남북국시대로의 분립과 통일신라 말에 후삼국시대의 성립을 촉진시켰다. 후고구려와 후백제는 국호에서부터 고구려, 백제를 계승한다는 의미를 내포하였다. 그리고 고구려·백제의 원한을 갚는다는 건국이념을 내세웠고, 둘 다 신라를 복수의 대상으로 생각하였다.
일통삼한 의식을 비롯하여 민족문화 발전의 토대라는 성과 역시 정확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우선 일통삼한 의식은 지배층들이 자신들의 지배를 원활히 하기 위해 내세운 명분에 불과했다. 일통삼한이라는 개념이 그 당시에 정립되었다고 말하기도 어려울뿐더러, 정립되었다는 근거 역시 미약하다. 또한 신라의 통일을 추진한 세력 즉, 김춘추(金春秋)세력의 등장 및 성장과정은 일통의식을 위시한 그들의 사적인 복수심이 깔려있음을 무시할 수 없다.
그리고 삼국의 문화와 문물교류는 신라의 삼국통일 전부터 시작되었다. 특히, 삼국간의 전쟁은 문물 교류의 매체가 되었다. 그리고 고구려를 통해 신라에 불교가 전래되었으며, 당시 대표적 지식층이었던 승려는 가장 활발한 문화 전도사 역할을 하였다.
이처럼 우리 민족의 첫 번째 통일 과정인 신라의 소위 '삼국통일'의 불완전한 모습들은 결국 과거에 초래된 남북 분단과 앞으로 진행될 통일의 과정에서 되풀이되지 않아야 할 실수와 과오 등을 살피는데 역사적 교훈을 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육군본부. 「한국고전사.1」 v.1:고대편. 서울 : 육군본부. 1975.
차대성. 「新羅三國統一의 軍事史的 考察」. 서울 국방대학원. 1985.
신형식. 「삼국통일전후 신라의 대외관계」.신라문화 . vol. 2.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85
장문평. 「신라(新羅)의 삼국통일 전쟁」. 軍史 vol.16.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8.
강종훈. 「7세기 삼국통일전쟁과 신라의 군사활동 -660년 이전 대고구려전(對高句麗戰)을 중심으로-」.신라문화. vol.24.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4.
김수태. 「백제(百濟)의 멸망(滅亡)과 당(唐)」.《백제연구》 권22호. 백제연구소. 1991.
문경현. 「신라 삼국 통일의 연구」.《경북사학》권19호. 경북사학회. 1996.
서영교. 「나당전쟁과 토번」.《역사학보》제79집. 역사학회. 2002.
김종복. 「고구려 멸망 이후 당의 지배 정책 -안동도호부를 중심으로- 」.《사림(성대사림)》권19호. 수선사학회. 2003.
최현화. 「7세기 중엽 당(唐)의 한반도(韓半島) 지배전략」.《역사와 현실》통권61호. 한국역사연구회. 2006.
김부식. 삼국사기. 서울: 솔 출판사. 1997.
김병남. 「일반논문 : 한국사학 ; 신라의 삼국통일 의식과 그 실제」. 한국사상과 문화. 한국사상문화학회. 2004.
신형식. 「7세기 동아시아 국제 정세와 신라의 삼국통일 전략 : 특집논문 ; 설림 : 7세기 동아시아 정세와 신라통일의 의미」. 신라문화. 신라문화연구소 동국대학교. 2004.
이호영. 「신라의 통일의식과 '일통삼한' 의식의 성장」. 동양학. 동양학 연구소 단국대학교. 1996.
신형식. 「신라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미」. 선사와 고대 제 2호. 한국고대학회. 1992.
이호영. 「신라 삼국통합과정 연구 서설」. 사학지. 단국사학회. 1989.
신형식. 「논문 : 삼국통일의 역사적 성격」. 한국사연구. 한국사연구회. 1988.
변태섭. 「삼국통일의 민족사적 의미 - 「일통삼한」의식과 관련하여-」. 신라문화. 신라문화연구소 동국대학교. 1985.
이호영. 「논문 : 신라삼국통일에 관한 재검토 - 통일의식을 중심으로 -」. 사학지. 단국사학회. 1981.
서영교. 「나당전쟁과 토번」. 동양사학연구. 동양사학회. 2002.
김복순. 「삼국의 불교와 사상교류」. 신라문화. 신라문화연구소 동국대학교. 2004.
서영교. 「나당전쟁의 개시와 그 배경 - 국제정세 변화와 관련하여 -」. 역사학보. 역사학회. 2002.
박남수. 삼국의 경제와 교역활동 . 신라문화.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4.
박남수. 당 변새시를 통해본 주변민족과의 관계 . 신라문화.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4.
배근홍. 나당전쟁 연구 중 몇 가지 문제 . 중국학보. 한국중국학회. 2002.
최창대.「선덕진덕여왕과 그 시대」. 논문집 제23호. 부산공업전문대학. 1982.
김영수.「역사재조명/삼국통일」.《통일한국》제23호. 평화문제연구소. 1985.
한규철.「발해건국과 남북국의 형성」.《한국고대사연구》제5호. 한국고대사학회. 1992.
김영하.「신라 삼국통일론은 타당한가」.《역사비평》제22호. 역사비평사. 1993.
김기홍 외 23인.『한국사』권9. 국사편찬위원회. 2003.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9.01.21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54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