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랑바르트의 기호학과 문학사회학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머리말
I. 바르트의 기호학이 지니는 사회학적 특성
 1. 기호사회학
 2. 기술사회학
 3. 소통사회학
II. 문학사회학에 대한 바르트 기호학의 기여
 1. 형식주의와 구조언어학의 극복
 2. 균형이론의 문학사회학
맺는 말

본문내용

ime provisoirement les relations de 1'individu avec son univers pour en reconstruire de nouvelles avec 1'univers de 1'oeuvre." R.Escarpit, Sociologie de la litterature, p.119
다른 한편으로 그는 문학의 세 가지 특성을 들고 있는데, 첫째로 문학은 사물이며 동시에 의미작용이란 점에서 다른 예술들과 다르며, 둘째로 현대사회의 문학은 제도언어와 기술의 자유와의 적응과 상충으로 특징지어지며, 셋째로 문학은 역사적 상황의 사회구조와 같은 구조에 따라 상상체계를 만드는 작품들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R.Escarpit, Le litteraire et le social, p.18
이상과 같은 지적들은 앞서 우리가 본 바르트의 기호학이 지니는 특성들 가운데 상응하는 부분들이라고 할 수 있다. 문학 텍스트를 기술하는 사람이란 바르트에 있어 사회집단의 일원이자 의미를 만드는 인간으로서의 발신자로 상정되었던 것이다. 무엇보다도 바르트의 기호학을 문학사회학의 본령에 가깝게 만드는 것은 그의 기호학이 문학의 자율성을 보존하려 한 점이다. “신화는 언어이다” M, p.9
, “신화는 파롤이다” Ibid., p.193
라고 말하는 그는 짤막한 발화행위에서부터 유행의상을 거쳐 현대의 신화에 이르기까지 모든 표현태를 기호체계로 보고 그 기호체계를 언어적 행위에 귀속시키는 것이다. 언어란 형식으로서만 존재하고 의미를 지닌다고 그는 말한다.
"La langue n'est jamais qu'un systeme de formes, le sens est une forme." Ibid., p.219
따라서 작가와 문학작품은 텍스트 자체로서 존재하며 이해된다. 그러나 이 때의 텍스트는 단절된 텍스트가 아니라 사회적 지평하에서의 텍스트이다. 저자가 텍스트의 1차 생산자라면 독자가 2차 생산자가 되고 그 텍스트 또한 사회가 직접적으로 반사되기도 하고 뒤틀리거나 허상으로 움직이고 있는 텍스트이다. 바르트가 다음과 같이 작가의 경계를 관습이나 대중으로 하지 않고 사회라고 한 것은 문학 텍스트의 제도성 외에 탈제도성도 말하려 한 것일 것이다.
"C'est seulement alors, que 1'ecrivain pourrait se dire entierement engage, lorsque sa liberte poetique se placerait a 1'interieur d'une condition verbale dont les limites seraient celles de la societe et non celles d'une convention ou d'un public." DZE, p.61
이상과 같이 바르트의 기호학은 발신자와 수신자 그 어느쪽에도 치우침이 없이, 문학작품외적 요소의 분석에 치중하는 사회학적 문학사회학을 넘어 문학과 사회학이 균형된 결합을 이루는 새로운 문학사회학을 시도한다고 볼 수 있다.
맺는 말
발화자보다는 발화 결과 자체만을 문제 삼아 기술체 또는 언술체의 기능과 층위를 분석한 바르트는 일견 텍스트의 내적 구조 분석에만 전념한 듯이 보이지만 그의 초기 저술『기술의 영도』로부터 『텍스트의 즐거움』을 거쳐 말기 저술에 이르기까지 변함없이 확인되는 것은 우리가 본 바와 같이 언어에 대한 그의 사회학적 관점이다. 그가 심지어 의사소통의 거부, 기호 파괴, 신화 파괴 등으로 언어의 위력에 대한 도전을 꾀할 때라도 그것은 기호체계와 의미작용 자체에 대한 회의나 부정이 아니다. 그것은 이미 그것 나름대로 하나의 기호체계로서 언어현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오히려 거짓된 기호체계, 거짓된 이데올로기가 진실된 형식으로 위장되어 우리의 신화와 기호체계가 됨을 경계하며 던지는 포스트모던한 전언이기도 하다.
『기호학의 제요소』에서 재확인되는 바르트의 주장, 즉 기호로서 언어의 사회성은 그의 현대 문명사회 현상의 분석서인 『신화지』와 『유행의상의 체계』에서도 잘 드러나 있다. 따라서 바르트의 기호학은 의미작용의 기호학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구조주의 언어학의 지평에서 벗어나 발신자-메시지-수신자의 관계를 중층적,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광의의 소통사회학으로서 문학사회학의 새 지평을 연다고 할 수 있다.
참 고 문 헌
롤랑 바르트 Roland Barthes의 저서 및 약어
AS : L'Aventure semiologique, Seuil, 1985
ASR : Introduction a l'analyse structurale des recits, Communications 8, 1966
DZE : Le degre zero de l'ecriture, Seuil, "Points", 1953
EC : Essais critiques, Seuil, 1964
ES : Elements de Semiologie
M : Mythologies, Seuil, "Points", 1957
OO : L'obvie et l'obtus, Seuil, 1982
PT : Le plaisir du texte, Seuil, 1973
RB : Roland Barthes, Seuil, "ecrivains de toujours", 1975
SFL : Sade Fourier Loyola, Seuil, "Points", 1971
SM : Systeme de la Mode, Seuil, "Points", 1967
S/Z : S/Z, Seuil, 1970
일반 참고 문헌
Calvet(L.-J.), Roland Barthes, Payot, 1973
Duchet(CL.), Sociocritique, Nathan, 1979
Escarpit(R.), Sociologie de la litterature, PUF, 1958
Le litteraire et le social, Flammarion, 1970
Zima(P), Pour une sociologie du texte litteraire, U.G.E "10/18", 1978
Manuel de Sociocritique, Picard, 1958
김 현,『문학사회학』, 민음사, 1983

키워드

  • 가격2,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8.21
  • 저작시기201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17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