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8광주민중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5 18광주민주항쟁) 개념, 5 18광주민중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5 18광주민주항쟁) 권력, 5 18광주민중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5 18광주민주항쟁) 트라우마티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5 18광주민중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5 18광주민주항쟁) 개념, 5 18광주민중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5 18광주민주항쟁) 권력, 5 18광주민중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5 18광주민주항쟁) 트라우마티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5 18광주민중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5 18광주민주항쟁)의 개념

Ⅲ. 5 18광주민중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5 18광주민주항쟁)의 배경

Ⅳ. 5 18광주민중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5 18광주민주항쟁)의 원인

Ⅴ. 5 18광주민중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5 18광주민주항쟁)의 권력
1. 권력의 보편성
2. 권력의 기초와 기능적 자율성
3. 국가권력의 제도화
4. 국가권력의 지배정당성

Ⅵ. 5 18광주민중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5 18광주민주항쟁)의 승인투쟁
1. 집권층의 언술
2. 광주시민의 언술

Ⅶ. 5 18광주민중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5 18광주민주항쟁)의 정치적 파시즘

Ⅷ. 5 18광주민중항쟁(5 18광주민주화운동, 5 18광주민주항쟁)의 트라우마티즘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할 계획이며, 대규모 주거단지가 형성되기 때문이었다.
518묘지의 핵심적 상징물인 추모탑은 트라우마티즘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수직성을 강조하는 기념물은 힘과 권위를 상징하는 것으로, 체제를 막론하고 권위주의적 독재체제의 기념물에서 가장 선호하는 방식이다. 한국에서 가장 높은 기념탑은 독립기념관의 겨레의 탑(51m)이며, 그 다음이 대전 국립현충원의 현충탑(43m)인데, 518묘지의 추모탑은 민주화운동 관련 기념탑 가운데 가장 높은 40m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추모탑은 희생자들에 대한 추모를 상징함과 동시에 권력에 대한 욕망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는데, 추모탑을 건립할 당시 광주의 망탈리테와 무관하지 않다. 518의 희생자이기도 한 지역 출신의 대표 정치인인 김대중의 계속되는 대통령 낙선 등은 대외적으로 자신의 힘과 의지가 강하고 굳건함을 보여줄 필요가 있었다는 것이다. 보상 욕구, 즉 국가 권력을 지역 출신의 정치인이 장악하지 못한 것에 대한 상징적 대체물로 추모탑의 규모를 거대하게 조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리만족을 추구했다고 볼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문화주의적 해석이 있을 수 있다. 국가나 지방정부, 직접적 이해집단 및 저항공동체 모두에게 국가의 지원을 받는 기념공간의 상징탑은 거대해야 하며, 중앙에 위치해야 한다는 관념이 지배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추모탑의 규모가 거대할수록 보다 확실하게 국가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외형적으로는 유족회의 입장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자체가 기념 혹은 재현공간에 대한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것이었고 볼 수 있다.
기념물 명칭
518민주항쟁추모탑과 부조벽
군상조형물
역사의 문 전시실
부조7마당
시간적 배경
5월 14일~27일
5월 18일~27일
5월 14일~27일
임진왜란~통일기원
사건 발생 장소
광주
광주
주로 광주의 상황
재현내용
횃불행진과 도청 앞 집회 → 무력진압 → 차량시위 → 계엄군 발포 → 시민군 등장 → 도청탈환 및 대동세상 → 계엄군 재진입 → 외곽전투와 도청함락 → 무등에서 백두로
대동세상, 무장항쟁
사진 전시, 비디오 상영 및 이장 과정에서 발견된 태극기 등 일부 유물과 신문자료, 검시 보고서 등의 전시
임진왜란 때의 의병, 동학농민전쟁, 31운동, 광주학생독립운동, 419혁명, 518광주민주화운동, 통일마당
사회운동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518은 원초적 사건으로써 518이 전개되던 1980년 5월 13일부터 5월 27일까지와 518이 종료된 이후 이를 둘러싼 제세력들 간의 기억투쟁, 이른바 5월운동이 전개되었던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518은 계속되고 있다’라는 말에서 보면, 두 시기의 구분은 의미가 없다. 국가에 의한 518의 긍정적 재평가 및 기념사업은 5월운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함으로써 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518묘지에 기념이 이루어진 사건의 시기와 공간은 분리되는 방식을 추구했다. <표>에서 알 수 있듯이, 기념 대상이 된 시기와 공간에서 전남의 항쟁들은 배제되었고, 광주의 도심, 특히 전남도청 일대에서 전개된 5월 13일부터 27일까지의 사건들로 국한되었다. 이는 광주와 전남이 행정구역상으로는 분리되어 있지만, 여전히 광주가 전남의 종주도시로써의 역할과 위치를 지니며, 5월운동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518과 광주의 이미지는 더욱 일체화되었고, 국가가 거리정치의 상징 도시로 부각한 광주를 기념사업의 주된 대상지로 선정하였기 때문이었다. 또한 기념사업을 결정하고 추진하는 과정에서 광주를 활동지역으로 하는 명망가들이 대거 포함되었으며, 기념사업에 밀접한 이해관계를 갖고 있는 관련자 단체들 역시 광주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분명한 점은 518묘지가 원초적 사건으로만 국한됨으로써, 민주화라는 범주에 포괄적으로 묶여있던 제 단체들과 구별되기 시작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518묘지에 안장될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로 분명하게 구별되었다. 이러한 구별은 보상이라는 판정 기준에 의한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이 과정은 518과 직접 관련된 단체들과 5월운동 혹은 이후 한국의 사회운동 과정에서 형성된 단체들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면서518묘지는 말 그대로 원초적 사건의 518로 기념의 대상과 내용이 한정되었다. 즉 원초적 트라우마티즘에 대한 치유에 치중한 기념공간이 되었으며, 여기에는 기념공간에 대한 관련자들의 소유의식도 작용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Ⅸ. 결론
518 광주민주항쟁은 분단이후 한국음악의 정체성(正體性)을 민족음악으로 확인시키고 음악운동으로 발전시킨 한국현대음악사의 최대 분수령이었다. 1950년 이후부터 70년대까지 현대 한국음악사는 신분성의 불분명과 무반성의 성격으로 치닫고 있었고, 여러 음악장르가 한국인들의 삶과 무관한 채 있었다. 80년 518 민주항쟁이 열리자 삶과 음악의 신분성을 되찾고 한국인들에게 노래와 음악을 통합적으로 있게 하였으며, 한국의 음악역사를 복원시켰기 때문에 518 광주민주항쟁은 일대 역사적인 음악사건이 아닐 수 없었다. 전문인들은 518 광주민주항쟁을 계기로 한국인들의 삶의 음악과 민족적인 음악이어야 한다는 몸부림과 시대적 요구에 따라 작품화 시켰고, 또 많은 전문단체가 조직되어 활동을 전개시켰다. 그리고, 일반인들에겐 민족과 민주를 포효하는 수많은 노래패의 노래와 음악작품이 80년대를 이끌어갔다. 518의 민주항쟁 없이는 한국현대음악사와 민족음악도 없었을 터인, 역사이었다.
참고문헌
김정한(2010), 대중운동의 이데올로기 연구 : 5·18 광주항쟁과 6·4 천안문운동의 비교, 서강대학교
김정한(2008), 5·18 광주항쟁의 이데올로기 연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심영의(2008), 5·18민중항쟁 소설 연구, 전남대학교
이영재(2010), 과거사 피해보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광주민중항쟁 및 민주화운동에 대한 피해보상과 국가배상의 비교를 중심으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광일(2005), 지구화시대 한국의 진보운동과 5·18민중항쟁의 현재적 재구성,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정호기(2007), 저항의례의 국가화와 계승 담론의 정치 : 5·18민중항쟁의 추모의례, 한국역사연구회
  • 가격7,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3.08.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34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