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응원 문화의 역사적 의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거리응원 문화의 역사적 의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序

Ⅱ. 전통 풍습을 통해 본 민족성

Ⅲ. 역사적 사건을 통해본 세대별 역할

Ⅳ. 結

본문내용

를 하나로 묶는 요인은 이제 더 이상 민주주의, 민족의식, 반항의식이 아니었다. 그러한 것이 없어도 이들은 우리 민족 고유의 낙천적이고 음주가무를 즐기고 공동체적 성향을 고스란히 표출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들이 보여줬던 통일된 모습은 50년 넘게 국민들 가슴에 응어리져 있던 이념적 갈등도, 지역과 정치적 계산으로 분열됐던 사상도, 이해의 차이로 등돌렸던 세대간의 갈등도 모두 해소시켰다.
Ⅳ. 結
이제 월드컵은 끝이 났다. 거리의 붉은 물결도 ‘오!필승코리아’도 ‘대한민국’도 이제 사라졌지만 그 뜨거운 정열과 힘찬 함성은 아직도 우리의 마음과 귓전에 남아 있다. 우리 민족은 감성적이고 낙천적이고 정의롭기 때문에 하나의 구심점이 생기면 금방 뜨거워지고 국민 모두가 하나가 된다. 우리는 이번 월드컵을 통해 잠재의식으로 남아 있던 민족성을 일깨우게 되었다. 또한 역사적으로 사회변화를 주도하던 세력이 언제나 청년 중심이었듯이 이번 월드컵에서 보여준 월드컵 세대들의 ‘티없이 맑은 표정’과 ‘순수한 열정’, ‘어른보다 더 성숙한 의젓한’ 모습을 본받아 국민 모두가 하나였던 단결력을 정착시키고, 처음 만난 옆 사람과 기쁠 때 얼싸안고 슬플 때 함께 눈물 흘리던 공동체 의식을 잊지 말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사회를 변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예부터 우리 조상들은 새해를 맞이하고 농사를 준비할 때, 단오, 중추절, 공동 노동작업을 할 때 등 수시로 마을 전체의 주민이 한 자리에 모여 정을 키워가고 공동체 의식을 다져갔던 것처럼 우리 사회도 국민들이 하나가 될 수 있는 구심점을 마련해 주어 잠재력을 발휘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강신표 外, 1988, 민족과 문화, 정음사
2. 사회과학원 민속학연구실, 1993, 조선의 풍습, 학민사
3. 신협, 1989, 민족풍토와 민족성, 국영출판사
4. 김경동 外, 1985, 韓國社會 한 世代, 서울대출판부
5. 이의용, 1999, 튀는 세대 별난 아이들, 예영커뮤니케이션
6. 월간중앙, 2000. 5월호(별책부록), 클릭! n세대, 중앙일보 J&P
7. 한국경제 7월 1, 2, 4일자
8. 매일경제 7월 2일자
9. 일간스포츠 7월 3일자
10. 스포츠투데이 7월 2일자
11. 국민일보 6월 30일, 7월 1, 9일자
12. http://www.woosangho.pe.kr/
13. http://library.419revolution.org/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2.27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7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