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의열투쟁, 이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연통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교육기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특파인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사료편찬회,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공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의열투쟁, 이념,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연통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교육기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특파인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사료편찬회,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공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의열투쟁

Ⅲ.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이념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연통제

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교육기관
1. 공립 3․1중학
2. 박달학원과 남화학원

Ⅵ.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특파인물

Ⅶ.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사료편찬회

Ⅷ.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공군창설계획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需要하는 공중 연락과 병원 수송에 관하여 동맹국 공군이 이를 需應할 것
⑤태평양 지구 한국광복군 파견 사령부 소속 비행대의 조직은 재미 한적 비행인원을 기초로 하여 이상 각항에 比照하여 행함
공군부대 편성상의 구성인원교육방법 내지 작전활동까지 그 기본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이것은 종래의 육군 단일 건군계획에서 육공 양군 건설계획으로 발전한 것으로서 당시 중국 전구는 물론 유럽전쟁 및 태평양전쟁을 통하여 공군의 활동이 전국에 미치는 지배적인 영향력을 고려한 데서 근거를 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이것은 또한 한미합작군사훈련의 기초가 되기도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다시 미군과의 합작에 의한 한국 공군창설계획을 세웠으니 그 ‘방침’과 ‘지도요령’및 ‘組成인원’까지 구체적으로 계획을 제시하였는데 그 내용 모두를 게재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 현단계 공군 건설 개시 공작을 미군과 합작하는 계획
(1) 방침
①왜적의 무력 세력을 근본 박멸하고 조국의 완전 독립과 세계의 영구 평화를 쟁취하기 위하여 아국 작전 행동을 반드시 미국과 절실히 합작하는 중, 무력 일부인 공군 인원의 훈련 編隊와 기계油彈등 제 보급도 역시 공동협상 진행하여 최단 기간내에 공군 작전을 개시하고, 나아가 건국 건군 중 공군 기초를 확립할 것
(2) 지도 요령
②한국 공군 인원과 미국 공군 인원이 공동 조직된 한국 공군 훈련소를 상당한 지점(중국 및 인도 등지)에 설립할 것
③ 맹군 작전 계획에 의하여 한국 공군 인원이 단시간내에 능히 훈련하여 공헌 있을 것을 주로 할 것
④ 공군 공적의 초보인 연락 및 통신 공작을 착수하여 미국 공군 인원과 혼합 편대를 개설할 것
⑤ 한국 항공대를 편성하여 미국 공군과 연합 작전하여 한국광복군의 작전 행동을 협조 할 것
⑥ 공군 건설의 제반 인재를 미국 협조로 양성하여 공군 건설의 기초를 확립할 것
(3) 組成 인원의 來源
⑦ 미국 및 기타 동맹국에서 복무하는 공군 인원을 집합할 것
중국 공군에서 복무 중 또는 복무한 바 있는
비행사 : 崔用德李英武鄭再燮崔鐵城權基玉
기계사 : 金震一張聖哲孫基宗李士英廉溫東王英在
⑧ 미군 세력 범위내의 한적 投誠 또는 포로 인원 중에서 공군 합격자를 선택할 것
상기와 같이 비행사 및 정비사 등 20여명이 중국 공군에 복무중에 있었다. 다른 사람들도 모두 중국 비행학교 또는 일본 비행학교를 졸업하고 실제 비행경험이 많은 비행사들이었다.
이밖에도 金英哉金信(중국 공군군관학교 재적) 등이 있었고 미국에도 비행교육을 받은 한국인 기술자가 있었으므로 공군창설을 위한 간부요원은 별 문제가 없었던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공군창설계획은 연합군과의 교섭이 진행중 일본군의 무조건 항복으로 인하여 결실을 보지 못하고 말았다.
임시정부의 ‘공군설계위원회’의 계획은 한국공군창설에는 중국보다 미국을 협상대상국으로 선정하였다는 점과 향후 창설될 공군에서 핵심적으로 일하게 될 한국인 비행가의 이름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하겠다. 일제로부터 조국의 독립을 쟁취하는 대업의 최선봉이 될 한국 공군의 창설은 결국 이후 6년이 경과한 후인 대한민국 건국 이듬해인 1949년이 되어서야 일부나마 실현되었던 것이다.
Ⅸ. 결론
1960년대 후반부터 본격화되기 시작한 임정에 관한 연구는 관련 논문이 200여 편이 넘을 정도로 많은 연구성과들이 축적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임정연구는 대한민국 건국의 역사적 정통성을 해명하기 위한 임정의 민족사적 정통성 검증 목적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은 남북한의 분단을 이데올로기적으로 심화시키고 재생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기존 연구에 대한 비판적인 문제의식은 1980년대 후반부터 단편적으로 제기되었고, 1990년대 초에 이르러 두 가지 방향에서 본격적인 연구성과로 제출되었다. 하나는 임시정부와 한국독립당(이하 한독당으로 약칭)의 분석을 통하여 ‘임정법통론’의 허구성과 한계점을 실증적으로 해명한 연구성과이고, 다른 하나는 유력한 반임정세력인 민족혁명당(이하 민혁당으로 약칭)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기존의 임정 중심의 중국 관내운동의 한계점을 극복한 연구성과이다. 전자의 연구성과는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관변측의 임정옹호론이나 대한민국 건국의 상징적인 존재였던 임정법통론의 허구성을 학문적으로 입증하였다. 후자의 연구성과는 기존의 임정-한독당 중심의 연구시각을 탈피하여 임정한독당에 대하여 대립적비판적 존재였던 민혁당의 성립과 활동을 통일전선운동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민족해방운동사에서 민혁당이 차지하는 정당한 역사적 위치를 학문적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첫째, 기존연구는 1942년 좌파의 임정 참여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내의 대립구도를 한독당과 민혁당의 이원적 대립구도로만 설정하였다. 이로 인해 한독당과 민혁당의 내부 갈등으로 신한민주당이 결성되는 원인과 신한민주당 결성 이후 임정개조운동의 주체가 이원화되는 과정과 의미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못하였다. 둘째, 1945년 2월의 얄타회담의 결정안이 임정내부의 역관계변화와 임정중심의 해외항일운동세력 통합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특별히 주목하지 못하였다. 셋째, 한독당과 민혁당의 역관계 변화를 통시대적으로 고찰하여 양당의 인적구성의 변화와 당 노선 변화의 상관관계를 역동적으로 분석하지 못하였다. 때문에 입국 직전에 한독당이 보수화되는 과정과 민혁당의 통일전선정당으로서의 위상변화를 설득력있게 설명하지는 못하였다.
참고문헌
김명식(2008) /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헌법과 그 정통성, 국회도서관
이용중(2009) /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지위와 대일항전에 대한 국제법적 고찰, 대한국제법학회
유준기(2009) /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역사적 정통성과 그 의의, 한국민족운동사학회
윤대원(2007) / 대한민국임시정부 연구, 이제는 사실과 객관성을, 내일을 여는 역사
조기화(2010) /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와 대한민국수립(大韓民國樹立), 대한민국순국선열유족회
한시준(1989) /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광복후 민족국가 건설론, 문화체육관광부
  • 가격6,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6.02.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50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