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과학 공통] 지난 50년간 우리나라의 기상변화 자료와 농작물 재배현황을 분석하여 기상변화에 따른 농작물의 생태변화를 설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물과학 공통] 지난 50년간 우리나라의 기상변화 자료와 농작물 재배현황을 분석하여 기상변화에 따른 농작물의 생태변화를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방통대 농학과 1학년 생물과학 공통] 지난 50년간 우리나라의 기상변화 자료와 농작물 재배현황을 분석하여 기상변화에 따른 농작물의 생태변화를 설명하시오.

<목 차>

Ⅰ. 들어가며

Ⅱ. 기상변화에 따른 농작물의 생태변화
1. 지난 50년간 우리나라 기상변화
1) 기후변화의 개념
2) 우리나라 기상변화
(1) 이상고온
(2) 강수 패턴 변화
(3) 대형 기상재해 빈발
2. 농작물 재배현황
1) 식량작물
2) 채소류
3) 과실류
3. 기상변화에 따른 농작물의 생태변화와 대응방안
1) 농업생태계의 변동
(1) 잡초
(2) 해충과 병
2) 작물재배
(1) 벼의 생태변화와 대응방안
(2) 맥류의 생태변화와 대응방안
(3) 채소의 생태변화와 대응방안
(4) 과수의 생태변화와 대응방안

Ⅲ.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기 이산화탄소 농도보다 200ppm을 더 불어넣어 재배하는 Rice FACE (free-air CO2 enrichment) 시험에서 출수기 건물중이 대조구보다 이삭은 33%, 줄기와 엽초는 24%, 엽신은 6%, 뿌리는 13%가 증가되었고 이삭수는 10-12% 증가되는 결과를 얻었다. 수량에 관한 결과는 없지만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작물의 바이오매스 생산을 높이는 것은 사실로 증명되었지만 이어서 온도 상승의 영향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2) 맥류의 생태변화와 대응방안
맥류는 재배기간의 혹한피해를 피하여 재배적지를 선정해왔으나 현재는 동해안의 동해와 영덕을 시점으로 남해안의 사천, 보성을 거쳐 서해안의 영광, 군산까지 보리를 재배하고 있고, 내륙에서는 거의 재배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해안은 겨울에 내륙보다 덜 춥고 보리의 등숙기간에 온도가 내륙보다 낮아 입중이 무겁게 여물기 때문이다. 1987년 이후 2000년까지 혹한기 기온이 1.5℃~2.5℃ 상승한 춥지 않은 겨울 현상이 계속됨에 따라 가을보리 재배한계선의 재조정을 조심스럽게 시도한바 있다(심 등, 2000). 가을보리는 일반적으로 1월 평균기온을 기준으로 하여 겉보리 -4℃, 쌀보리 -3℃, 맥주보리 0℃ 이상 지역에서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다. 1987년부터 1999년까지 1월 평균기온의 분포로 가을보리 재배지역을 다시 구분한 결과는 그림 1과 같이 종전보다 북상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온난화가 되면 맥류재배적지는 해안을 따라 북상할 전망이다. 그러나 농작업을 어렵게 하는 파종기와 수확기의 강우현상에 대해서는 고려된 바가 없다. 밀에 FACE(개방대기 CO2 증가) 처리를 한 결과 대조구보다 밤에 군락의 온도가 0.6-1.0℃ 상승하여 이슬지속기간이 30% 줄어들었고 출수기는 4일 앞당겨졌으며 낮에는 CO2 농도 증가로 식물체의 조직 온도가 상승하여 부분적으로 기공이 닫히고 증산량이 줄어든 결과를 보였는데 작물생산 면에서 이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3) 채소의 생태변화와 대응방안
호냉성 채소는 온도가 높아지면 재배적지를 찾아 이동할 수밖에 없다. 재배에 알맞은 온도를 따라 봄채소는 지금보다 일찍 가꾸어야 하고 가을채소는 늦게 가꾸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높은 온도를 요구하는 과채류는 현재보다 유리할 것이지만 고온으로 인한 딸기의 화아분화 장해는 극복하여야할 것이다. 한편 양파, 파, 상추와 같은 채소는 고온이 화아분화를 유도하여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시설채소재배에는 연료가 덜 소모될 것이라고 기대하지만 겨울철 일조부족으로 그 반대효과가 있을지도 모른다. 겨울철 온도 상승은 일조부족을 초래하는 것이 우리나라 기후의 특징인 만큼 채소의 소모도장으로 채소 생산량이 줄어드는 경우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온난화는 시설채소의 재배면적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도 있을 것이다.
(4) 과수의 생태변화와 대응방안
사과가 자발휴면에 요구되는 온도는 7℃이하로서 0.6-4.4℃가 알맞다고 알려졌는데 휴면타파에 요구되는 저온기간은 1,400시간이다. 이 조건에 만족할 수 있는 곳은 연평균기온이 13℃ 이하로서 겨울 온도가 내륙 또는 분지의 특징을 지닌 곳이라야 한다. 온난화가 되면 사과는 더욱 북쪽 아니면 현재의 고랭지로 이동하여야 할 것이다.
3.5℃ 상승의 온난화는 배, 복숭아, 포도, 단감은 재배지역이 확대되어 북상하겠지만 고온으로 부적지가 되는 곳도 있을 것이다. 남부지방의 바람이 적은 곳에는 참다래 재배가 보편화되고 제주도에는 아열대 과수재배가 가능할 것이다. 현재 평지는 온도가 높아서 과수의 재배 부적지로 되어있는 곳에 한라산처럼 우뚝 솟은 산이 있다면 표고에 따른 체감온도를 처리온도로 하고 과수의 종류와 품종을 식재하여 기상관측과 동시에 화아분화, 휴면, 휴면타파 등을 중심으로 재배 가능 여부를 가려내는 시험을 실시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사과, 배, 복숭아 등 우리나라의 주요과수에 대한 기후변화 적응 시험은 지금부터라도 시작하여야 할 것이다.
Ⅲ. 나가며
지구 온난화에 따른 세계적인 기후변화 현상과 이상기상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기후변화 진행에 동반하여 작물, 품종, 토양조건, 해충, 병 등 농업생태계 구성요소들은 생태계의 안정을 위하여 자기조직화가 일어나겠지만 농업생태계의 특성으로 보아 생태계 교란을 극복하자면 생태계 관리기술이 적극적으로 투입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작물과 식생에 대한 이산화탄소 농도의 직접적 영향은 물론 이산화탄소의 농도 증가가 몰고 오는 계절별 온도 변화, 영양 물질순환의 이상 대기의 조성과 질의 변화 등과 이들의 상호작용 등에 대하여 주시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로서는 생태계 구성요소들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결과와 그에 따른 작물의 반응과 적응에 관한 궁금함은 곧 두려움일 뿐이다. 기후변화가 닥치면 농업부문에서는 생산비 추가, 수량감소, 축산의 적응시스템 전환 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경종농가는 재배시기, 시비방법, 물 관리, 품종의 형질 등의 개선에 중점을 두고 축산 농가는 가축의 품종의 선택과 개량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최재천(2011) 기후변화 교과서-기후변화와 한반도 생태계의 현황과 전망, 도요새
옥치상(2006) 새 인간과 환경, 지구문화사
이형로 외(2007) 지구환경문제와 보전대책, 법문사
임정남, 지구온난화가 우리나라 농업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생태계 위기와 한국의 환경문제, 1992
심교문 외, 가을보리 재배기간 중의 기상변화. 한국농림기상학회지, 2000
윤진일, 대기중 이산화탄소 배증 조건하의 기후시나리오에 의한 국내 쌀 생산 추정, 한국기상학회지, 1990
윤성호, 기후변화에 따른 벼 적정 등숙기간의 변동과 대책, 한국농림기상학회지, 농업과학기술원, 2001
통계청 보도자료, 15년 보리,마늘,양파 생산량 조사 결과, 2015
통계청 보도자료, 15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 2015
통계청 보도자료, 14년 가을 배추, 무, 사과, 배 생산량 조사 결과, 2015
농촌진흥청 http://www.rda.go.kr/
통계청 국가통계포탈 http://kosis.kr/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6.09.30
  • 저작시기201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02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