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청소년과미디어 공통)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영상콘텐츠 한 편 또는 시리즈물(청소년관람불가가 아닌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등)을 선택하고 그 프로그램이 아동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청소년과미디어 공통)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영상콘텐츠 한 편 또는 시리즈물(청소년관람불가가 아닌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등)을 선택하고 그 프로그램이 아동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매스미디어 속의 여성상

2.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

3.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이 아동과 청소년들에게 미칠 수 있는 부작용
1) 여성 차별
2) 개인주의
3) 결혼관
4) 이혼과 미혼모에 대한 시선
5) TV드라마와 동일시 갈망
6) 외모지상주의
7) 가부장적 사상
8) 청소년의 미디어 수용
9) 여성주의적 성향
10) 환상적 구조의 차용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부터 여성의 손길에 익숙해져 있던 현재의 남성들은 이전의 강한 마초적인 성향의 모습보다는 눈에 띄게 약해진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성별적인 나눔이라기보다는 . 인간으로서의 서로의 성을 인정하는 성향이 강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드라마의 7화에서 현재 거짓연애를 하고 있지만 진행 중인 남자친구 현진헌과 과거 지난 남자친구 민현우의 난투전이 김삼순과 장채리와의 육탄전으로 바뀌어 가는데 이때 여성들의 싸움을 주춤하는 시선으로 바라보는 현진헌과 민현우의 모습은 현재 남성의 입지가 강한 모습으로만 보여 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장면이다.
10) 환상적 구조의 차용
<내 이름은 김삼순>은 주인공 김삼순의 평범한 일상속의 현실과 환상을 오가며 자신의 일과 사랑을 이루어 나가는 로맨틱코미디의 구조를 그리고 있다. 제 1부 “인생은 봉봉 오 쇼콜라가 가득 든 초콜릿 상자입니다.”가 시작됨과 동시에 전국의 대중적인 삼순이들의 이목을 일시에 집중시키고 마지막 회, 제 16부 “사랑하라, 한 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이 끝나고 난 후에는 사회적 여파가 엄청나게 일어났다. 외모도 그저 그렇고 경제적인 능력 또한 그저 그런 혼기가 꽉 찬 30세 김삼순의 뻣뻣하고 퉁명스러우면서도 과격한 언행을 일삼는 캐릭터로 인해 같은 세상을 살고 있는 같은 또래의 여성시청자들에게 긍정적인 환상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드라마의 시작은 크리스마스이브에 김삼순은 남자친구 민현우의 외도현장을 잡으려고 호텔까지 미행하는 처절한 상황에서 시작된다. 둘의 만남이 시작되고 몇 번의 크리스마스를 지내지만 매번 민현우는 그의 아버지가 운영하는 건설 회사를 핑계거리로 종교적 의미를 되새기는 날이라기보다는 연인들의 이벤트를 위한 날로 인식되고 있는 그 중요한 크리스마스를 정작 둘이 함께 보낸 기억이 없음을 깨닫는다. 그런데 그런 그가 지금 다른 여자와 함께 호텔방으로 들어서고 그 모습을 지켜본다. 배신감에 분노하며 그에게 복수를 다짐하고 그가 있는 방으로 들이닥쳐 그의 바르지 못한 행실에 대해 거친 입담으로 비난을 퍼부어대며 응징한다. 하지만 곧 그 상황은 그녀의 간절한 상상이었고 다시 현실로 돌아온다. 그녀의 환상과는 다르게 여전히 남자친구의 외도 앞에서도 소극적이어야만 하는 김삼순 앞에 민현우는 너무나 떳떳하고 당당하게 그녀와 마주한다. 김삼순은 자신이 싫어진 이유에 대해 솔직한 답을 요구하지만 그의 박식함을 가장한 궤변으로 그녀를 사랑했다는 말을 남기고 간단한 이별을 고한다. 그리고는 또다시 그녀는 그녀의 환상 속으로 빠져들어 과거 실연당한 여성들의 비관적인 행동을 실행하듯 호텔옥상으로 올라가 투신을 경험한다.
4. 나의 의견
<내 이름은 김삼순>은 삼순이 남자친구로부터 실연당한 날을 기점으로 시간의 흐름에 의한 순서로 진행된다. 그리고 이야기의 중심인물인 김삼순과 그녀의 주변인물들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는 일반적인 서사구조를 따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 속성 외에도 <내 이름은 김삼순>은 여타의 드라마와는 차별화된 방식으로 이야기를 전개해나가고 있다.
첫째, <내 이름은 김삼순>은 삼순의 현실과 상상을 오가는 병행 구조로 진행된다. 현실과 상상의 공존은 삼순의 욕망을 대변하며 현실의 연장선상에서 자연스럽게 진행된다. 바람난 남자친구의 호텔 객실로 찾아가 욕설을 퍼부으며 칼을 들이대는 상상, 조언이 필요할 때마다 돌아가신 아버지를 불러내어 대화를 이어가는 상상, 진헌과 행복한 가정생활을 영위해나가는 상상 등은 그녀의 욕망과 갈등을 해소시키며 대리만족을 느끼게 한다.
둘째, <내 이름은 김삼순>은 익숙한 공식과 의외의 설정으로 인한 반전이 있다. 사회적으로 비주류에 속하는 여성의 성공기를 다룬 독특한 설정에 부잣집 아들 진헌의 등장으로 인한 신데렐라 구조를 적절히 따르면서 드라마의 기본 공식을 활용하되 의외적인 설정으로 인한 반전을 꾀하고 있다. 예컨대 삼순과 진헌의 가족사진을 보여주고 있으나 그것은 단지 삼순의 꿈에 불과했다는 반전을 통해, 신데렐라 드라마의 환타지도, 비극적 결말의 제시도 아닌 현재진행형의 희망을 암시하고 있다.
셋째, <내 이름은 김삼순>은 삼순의 시선으로 이야기를 진행한다. 삼순의 내레이션과 함께 그녀가 응시하는 곳을 보여주면서 김삼순의 시선이 드라마를 지배하고 있으며, 때로는 그 시선을 받는 대상이 자신임을 드러내고 있다. 이렇듯 삼순이의 시선과 삼순이를 바라보는 시선의 회귀는 여성들을 삼순이와 동일시하게 만드는 중요한 극적 장치가 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영상콘텐츠 한 편 또는 시리즈물(청소년관람불가가 아닌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등)을 선택하고 그 프로그램이 아동과 청소년들에게 미칠 수 있는 부작용을 분석하고 기술해 보았다. 매스미디어는 인간의 사고와 행위 그리고 문화적 가치와 규범을 매개하는 사회화의 중심 매개체로서, 인간의 삶에 깊숙이 침투되어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사회 구성원들은 매스미디어에 의해 전달되는 사회적 사실, 규범, 가치들을 보편적인 것으로 인식하며 이를 수용하고 또한 순응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매스미디어는 인간과 사회구성체의 지속적인 관계 유지 및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전제가 아닐 수 없다. 이렇듯 인간의 사회화 과정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매스미디어 중에서도 현대 사회의 중심이 되는 매체는 단연 텔레비전이라고 할 수 있다. 텔레비전은 대중과 가장 친숙하고 밀접한 관계를 갖는 매스미디어로서, 21세기인 지금까지도 인간의 삶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성희(2010). 방송드라마 창작론. 연극과 인간.
김주현(2009). 외모 꾸미기 미학과 페미니즘. 책세상.
강진구(2002). 방송 신드롬의 사회. 활천.
백선기(2001). 텔레비전 문화의 기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김선남(1997). 매스미디어와 여성. 범우사.
강준만(2006). 대중문화의 겉과 속. 인물과 사상사.
윤선희(2005). 신델렐라 콤플렉스의 역전이와 코라. 한국언론학보.
김지영(2000). 부모, 또래 역동에 따른 청소년의 대중스타 우상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7.09.16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39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