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중간과제 방통대 철학의 이해 B형 철학 고전 강의 – 데카르트: 주체인 인간의 세계 구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통대 중간과제 방통대 철학의 이해 B형 철학 고전 강의 – 데카르트: 주체인 인간의 세계 구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본론: 요약 및 추가 설명

1, 제 1성찰
2, 제 2성찰
3, 제 3성찰
4, 의심할 수 있는 것들에 관하여
5, 의심할 수 있는 것들에 관하여
6, 인간정신의 본성에 관하여

결론: 감상 및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놓고 본다면, 이 주제가 중세 전반에 걸친 일련의 철학적 논의 속에서 나타나기를 반복한다는 사실은 데카르트의 철학을 다시 중세철학의 심연으로 가라앉게 만들기에 충분한 논거가 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성찰에 덧붙인 헌사(Epistola)에서 데카르트는 자신의 철학적 물음을 “신과 영혼이라는 두 가지 문제”(duas quaesstiones, de Deo & de Anima)라고 단정하는데, 이점에서 당대의 강단철학으로부터 이탈했다고 자부해 마지않던 데카르트의 철학적 쇄신은 한낱 수사학적 과장일 뿐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중세철학에서 자기인식이라는 철학적 주제가 아무리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결코 나의 자기인식에 준거해서 전개되지 않는다. 특히 후기 중세의 스콜라철학에서 자기인식은 전적으로 신의 자기인식으로서만 온전한 것으로 제시된다. 물론 토마스(St. Aquinas)에서 신의 자기인식은신 존재의 완전성에 의존하고 있어 자기인식의 계기가 완전히 분화되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에크하르트(Eckhart)에서 신의 자기인식은 ‘존재의 원리’(principium entis)로까지 격상됨으로써 심지어는 신 존재의 토대라고 규정된다는 점을 확인해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자기인식은 인식하는 존재 그 자체로부터 분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존재의 근거로서 새롭게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위상 변화를 통해 다시 규정된 자기인식은 외견상 데카르트의 코기토와 다르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스콜라철학이 존재의 원리로서 자기인식을 강조한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여전히 신을 매개로 해서만 가능한 것으로 진술된다는 점에서 코기토 진리의 자기인식과는 전혀 다르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스콜라철학에서 나타난 존재와 인식 사이의 분리는 데카르트 이전에 근대를 예비하고 있던 일련의 실마리로 간주될 수 있다. 이 전통적 유산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데카르트의 공적은 코기토를 “제일원리”(premiere principe)라고 소개함으로써 자기인식에 있어 일인칭 나의 우위를 분명하게 표시한 점이다. 데카르트는 원리의 지위에서 긍정되는 일인칭 자아를 통해 중세철학의 심연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는 것이다. 그런데 신에게서는 무리 없이 존재나 인식의 원리로서 승격될 수 있었던 자기인식이 데카르트의 코기토를 통해 생각하는 나의 자기인식으로 제시되는 경우, 그것은 어떤 의미에서 원리라고 말해질 수 있는가? 이점에서 데카르트는 코기토를 단지 ‘인식의 원리’(principium cognitionis)로 설명해보지만, 이러한 원리는 감히 존재의 원리와 나란히 할 수 없을 만큼 연약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실제로 데카르트는 자기인식을 통해 마련된 나 자신의 존재를 예외로 둘 수 없이 모든 존재자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되기 마련인 ‘생각하기 위해서는 존재해야 한다’(pour penser il faut etre)는 별도의 명제를 제시한다. 그래서 둘째 성찰은 자아를 ‘생각하는 것’(res cogitans)이라고 다시 규정해보지만, 이것은 나의 생각이 궁극적으로는 나 자신의 존재 근거조차 마련해 줄수 없다는 고백에 다름 아니다. 데카르트는 나를 “신과 무, 즉 최고의 존재자와비존재 사이의 중간자”(medium quid inter Deum & nihil, sive inter summumens & non ens)라고 말하면서 자아가 존재 근거로서는 부적합한 유한자라는 점을 적극적으로 노출시키는데, 셋째 성찰에서 신의 존재는 생각하는 나에게는 삼인칭의 절대적인 타자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존재자의 존재 근거로서 제시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철학고전강의>, 강유원, 라티오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7.09.21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45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