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미 FTA 타결,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 미 FTA 타결,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3
ㄱ) 연구의 필요성.......................................................3

2. 본론...................................................................3
ㄱ)FTA란 무엇인가?......................................................3
ㄴ)한미 FTA, 무엇이 중점적으로 논의 되었는가?..........................3
ㄷ)한미 FTA로 인해 얻는 기회효과........................................6

3. 결론...................................................................7
ㄱ) 한미 FTA , 보안대책.................................................7

4. 참고문헌...............................................................7

본문내용

증가, 민간부문 소득증대 및 투자효율 제고를 통한 국내투자 증가로 인해 투자 확대가 될 것이다. 특히, 미국 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등으로부터의 직접투자(FDI) 증가도 기대 가능하다.
국내 FDI 규모 추이 외국의 FTA 체결 전후 FDI 규모
또한 경쟁 촉진, 신기술, 경영 도입 확산, 시스템 선진화 등을 통한 경제전반의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산업별 영향으로는 제조업에서는 주력품목을 중심으로 수출 증대 예상되고 서비스업은 중장기적으로 경쟁력 강화와 함께 국내생산.고용 증대 예상된다.
3. 결론
1. 한미 FTA , 보안대책
우선 피해가 가장 심각했던 농업 분야는 수입이 급증하여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소득감소분을 지원하는 직불금 지급대상 품목을 현행 키위, 시설포도에서 소돼지, 감귤, 콩 등으로 대상품목을 확대해 나가되, 소득보전 직불금의 대상요건, 지급요건 및 지급수준 등은 앞으로 이해단체의 의견수렴 등을 거쳐 확정하고
수산업 분야는 수입급증으로 피해가 발생한 품목별로 소득감소분에 대한 직불 금을 지급하고, 경쟁력 상실로 폐업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폐업지원금을 지원하고 설비 현대화, 유통 시스템 선진화, 기술개발지원 등 경쟁력 강화방안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제조. 서비스업은 단기 경영자금 융자, 설비투자 등 경쟁력 확보자금 융자를 해주며 경영. 기술 컨설팅, 자금. 인력. 기술. 판로 및 입지 정보 제공할 전망이다.
또한 FTA로 인해 피해를 입을 노동자에겐 고용보험기금을 이용해 고용안정을 지원할 것이며 근로자 고용안정 지원강화를 위해 고용지원센터에 FTA 신속 지원팀을 설치할 것이다.
자동차 분야는 미국시장의 수요에 맞추어 대형에서 소형에 이르는 다양한 상품라인 구축 및 적극적 마케팅 추진과 픽업시장 진출기회 활용을 위해 美업체 등과의 전략적 기술제휴 및 진출애로사항 지원할 전망이다.
섬유 분야는 특혜 원산지기준 충족 및 중고가 시장의 선점 효과 증대를 위해 원부자재와 완제품 생산업계간의 협업 지원 확대할 전망이고 패션 의류기업의 디자인. 브랜드. 마케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패션서비스 육성 방안"을 수립할 것이다.
전기. 전자 분야는 반도체 장비 등 美측의 경쟁우위 분야 공동연구 추진 및 선진기업과의 기술협력 및 투자유치 기회로 적극 활용하고 차세대 반도체. 디스플레이, 홈네트워크, 지능형 로봇 등 차세대 신기술분야를 중심으로 국제 표준협력 강화할 전망이다.
신발 등 생활용품 분야는 미국 내 세계적인 생활용품. 스포츠. 레저 메이저업체와의 마케팅 협력, 기획제안형(ODM) 생산체계 강화하고 미국 내 (가칭) 섬유생활용품 韓商 설립을 통해 중소기업 해외무역네트워크로 활용할 전망이다.
4. 참고문헌
1) http://blog.paran.com/lans/18487704
2) http://fta.korea.kr/ko_en/negotiation/?mode=301&dataKey=10682
3) http://blog.naver.com/soulrit?Redirect=Log&logNo=50015977978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1.05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17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