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제론 A형 우리 아이의 인권 이야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문제론 A형 우리 아이의 인권 이야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서론
본론
1, 아동권리의 개념
2, 아동권리 인식의 중요성
3, 인권 감수성의 개념
4, 인권 감수성의 구성요소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석하기 위해서는 인권의 보편적 개념, 그리고 인권과 관련된 지식과 이론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하므로 인지적인 과정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타인의 정서에 대해 인식하고 행동의 결과를 상상할 수 있는 결과지각 능력은 정서적 과정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인권 이슈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이를 실천하려는 의지인 책임지각은 행동적 과정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것은 인권 감수성이란 단지 정서적인 부분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인지와 정서, 행동이 통합되어 있는 심리적 과정임을 의미한다(이주은, 2012년). 다양한 통계와 연구의 결과에서 살펴보았듯, 부모의 강압적인 훈육으로 인한 문제의 심각성을 고려할 때 훈육에 대한 고민과 연구는 별도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 양육태도는 훈육을 포함하는 하나의 상위개념으로 이해하고, 양육태도 중 하나인 훈육에 대해 좀 더 심화하여 연구할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또한 어머니의 훈육방식이 아동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기반으로 훈육의 경계를 넘어선 학대에 대한 예방이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할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자녀를 훈육하면서 강압적 체벌 등의 부정적인 방식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는 아동의 인권을 옹호할 수 있는 도덕적 행동이 산출되어야 한다. 강 지영(2002년)과 이승미(2000년)의 연구에서 인권을 옹호하는데 있어서 인지적 요인뿐만 아니라 정서적 요인이 고려되어야 하고, 이 두 가지 요인이 함께 작용해야 인권 옹호 행동을 끌어낸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도덕 심리학 자 Rest(1983년, 1986년, 1994년)의 도덕 행동을 촉진해주는 인지와 정서로부터 분리된 도덕 행동이란 없다는 이론을 뒷받침해 준다. 따라서 이러한 이론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아동권리 인식과 인권 감수성이 훈육방식에 영향을 미치리라 예측하고 이 변인들의 관계와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인권감수성에 대한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지만, 인권 감수성과 아동권리 인식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시설보호 아동의 인권 감수성이 아동권리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이초록, 2015년)와 예비보육교사의 인권 감수성이 높을수록 아동권리 인식 수준이 높아진다는 결과(송정애, 장정 순, 2015년)가 있다.
결론
아동복지법 제3조에서는 “아동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정신적·성적 폭력이나 가혹행위를 하는 것과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 것을 말한다. 또 전 세계 대다수 아동들은 가정 안팎에서 폭력적인 체벌을 경험한다. 유니세프의 조사 결과 중·저소득 33개국 2-4세 아동의 75퍼센트가 최근 2달 이내에 가정에서 폭력적 체벌을 경험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고통스럽고 굴욕적인 대우가 다수 국가의 일부 또는 모든 장소에서 합법적이다. 160개 국가가 가정에서의 체벌을 아직 금지하지 않고 있으며, 폭력적 체벌이 154개 국가의 어린이집 및 유아교육 기관과 76개국의 학교에서 합법적이다. 대안 양육 환경에 있는 아동에 대한 폭력에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시설보호나 가정위탁에서의 체벌 역시 많은 국가에서 합법으로 남아있다.
이러한 눈에 보이는 아동학대나 인권침해 이외에도 우리사회에는 아직도 아동의 권리에 대한 인식이 미약하고, 아동을 자주적인 권리를 지닌 존재로 대접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사업에 실패하여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가장이 자녀들을 자신의 분신이나 일부로 인식하고 안타까운 선택을 하는 것을 자주 본다. 이것은 아이의 자기결정권이나 감정을 온전히 아이의 것으로 인정하기보다 부모 의지대로 행동하려는 의지가 당연시되고 있는 사회 풍조의 결과라고 여겨진다. 성장할수록 아이의 삶이 부모 자신의 삶과 독립적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으며 아이의 생각이나 감정, 권리와 의사표현을 존중하는 문화가 정착되지 않는다면 앞으로도 별이나 학대 등의 부당한 일들이 끊이지 않을 것이다.
참고문헌
가장 민주적인, 가장 교육적인 가르치는 민주주의를 넘어 | 오늘의 교육 총서
호야 외 | 교육공동체 벗
걸 페미니즘- 청소년인권X여성주의 | 청소년 벗
호야 외 | 교육공동체 벗
나의 첫 젠더 수업
김고연주 (지은이) | 창비
페미니스트 선생님이 필요해 - 더 자유롭고 평등한 학교를 만드는 열 개의 목소리
홍혜은 외 | 동녘
내 말 듣고 있는 거야? - 우리 아이의 인권 이야기
권귀염 | 구정화 | 장혜진 (지은이) | 국가인권위원회 | 삶은책
  • 가격4,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03.16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85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