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미인곡에 대하여 -임을 그리는 여인의 애절하고 우아한 목소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미인곡에 대하여 -임을 그리는 여인의 애절하고 우아한 목소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사미인곡에 대하여 >
-임을 그리는 여인의 애절하고 우아한 목소리-



Ⅰ. 서론

Ⅱ. 본론
1. 송강(松江)의 생애
2. 송강(松江)과 그 시대 사조
3. 사미인곡의 작품 분석

Ⅲ.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표현한 사미인곡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사미인곡은 총 63행(126句)으로 되어 있고 편구(片句)는 없다. 그 짜임을 보면 서사(序詞), 본사(本詞 : 春夏秋冬), 결사(結詞)의 3단 구성으로 되어 있다.
1) 서사 : 16행(32구)
이몸 삼기실 님을 조차 삼기시니~ ~ 듯거니 보거니 할샤.
서사에서는 한평생의 연분으로 만난 임과 이별하고 나서의 비할 데 없는 그리움과 시름을 노래하였다. 임과 자신의 사이를 천생 연분이라고 강조하면서 끊을 수 없는 애정을 첫 문구부터 여성적인 행동과 어조로 이재덕, 「송강 문학의 충효 사상 연구」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84
직핍 하였다. 그리고 광한뎐(廣寒殿 - 달나라의 궁궐)에서 하계로 내려온 여인의 모습에 자신의 처지를 비유했다.
여기서 화자의 목소리가 지극히 우아하게 들린다. 즉 여성만이 지닐 수 있는 섬세하고 특유한 포근함과 아량으로 님을 결코 원망하지 않는 ‘우아미’가 내재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우아미’ 속에는 다시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으로 이어지려는 ‘숭고미’가 심층에 흐르고 있다.
그러나 자신의 분신과도 같은 사람이 부재 한다면 머리가 헝클어지고 연지분으로 단장하지 못하는 정도의 모습만은 아닐 것이다. 적어도 그 이상일 것이다. 단지 표면적으로는 광한뎐에서 누리던 생활의 일부만이 없어졌을 뿐이다. 만일 이 표현이 극으로 치솟았다면 임을 그리는 여인의 모습이 더욱 애절하게 느껴졌을 것이다. 이러한 가능성을 사대부집안 여인이라는 화자의 시각이 가로막고 있다고 본다.
2) 본사 : 38행(79구)
① 春詞 : 7행(14구)
동풍이 건듯부러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11.27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20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