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학 연구 방법론] 2011년 대학생들의 대북 통일 의식 설문 결과 (인구통계 빈도분석 교차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학 연구 방법론] 2011년 대학생들의 대북 통일 의식 설문 결과 (인구통계 빈도분석 교차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인구통계학적 빈도분석
3. 주요 문항 빈도분석
4. 교차분석
5. 결론

본문내용

8
56
156
260
전체 중 %
10.7%
12.5%
34.8%
58.0%
여성
총계
34
25
129
188
전체 중 %
7.6%
5.6%
28.8%
42.0%
합계
총계
82
81
285
448
전체 중 %
18.3%
18.1%
63.6%
100.0%
북한체제와_정권변화
성별
남성
총계
97
100
257
454
전체 중 %
13.2%
13.6%
35.0%
61.9%
여성
총계
48
46
186
280
전체 중 %
6.5%
6.3%
25.3%
38.1%
합계
총계
145
146
443
734
전체 중 %
19.8%
19.9%
60.4%
100.0%
남북한주민과경제의_교류협력강화
성별
남성
총계
73
52
168
293
전체 중 %
14.3%
10.2%
32.8%
57.2%
여성
총계
44
30
145
219
전체 중 %
8.6%
5.9%
28.3%
42.8%
합계
총계
117
82
313
512
전체 중 %
22.9%
16.0%
61.1%
100.0%
정치군사적신뢰구축(군비축소와국가보안법폐지등)
성별
남성
총계
62
43
130
235
전체 중 %
16.6%
11.5%
34.9%
63.0%
여성
총계
30
18
90
138
전체 중 %
8.0%
4.8%
24.1%
37.0%
합계
총계
92
61
220
373
전체 중 %
24.7%
16.4%
59.0%
100.0%
강대국의개입축소와국제관계의평화
성별
남성
총계
26
30
101
157
전체 중 %
9.6%
11.1%
37.4%
58.1%
여성
총계
29
18
66
113
전체 중 %
10.7%
6.7%
24.4%
41.9%
합계
총계
55
48
167
270
전체 중 %
20.4%
17.8%
61.9%
100.0%
퍼센트 및 합계는 응답자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a. 집단 설정
<표4-5. 성별 및 이념성향별 통일을 위해 선결돼야 할 사항>
이념성향별로 차이를 보이는 응답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자. 본인이 각각 ‘진보’, ‘보수’라고 대답한 사람들 중에서 유독 차이를 보인 응답 유형은 ‘남북한 주민과 경제의 교류 협력 강화’, ‘정치군사적 신뢰구축(군비 축소와 국가보안법 폐지 등)’이었다. ‘남한의 실업이나 경제적 양극화 문제해결’이나, ‘북한체제와 정권의 변화’ 등에 대해서는 ‘진보’, ‘보수’ 모두 비슷한 비율도 응답했으나 위의 선결조건들에 대해서는 ‘진보’적인 사람이 꼭 선결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비중이 높았다. 이로써 진보적인 사람들이 남북 간 신뢰와 협력을 강조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성별로 비교해봤을 때, 남성과 여성의 응답률이 크게 차이나는 항목으로는 ‘북한체제와 정권의 변화’ 및 ‘정치군사적 신뢰 구축(군비 축소와 국가보안법 폐지 등)’이었다. 전자는 2380bp, 후자는 2600bp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남한 실업 및 경제적 양극화 문제 해결’ 항목에서 남녀 선택 비율차가 1600bp를 보인 것과 달리 성별로 훨씬 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뜻한다. 남성은 이 두 항목을 통일이 되기 위해 꼭 선결돼야 할 조건으로 꼽은 경향이 높았으며, 여성의 경우는 낮았다. 이로써 남성들이 ‘정치, 체제, 군사’ 분야를, 여성들이 ‘경제, 외교’ 부문의 개선을 보다 원함을 알 수 있다.
5. 결론
지금까지 총 131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대학생들의 대북/통일 의식’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남성이 약 60%, 여성이 40%였으며, 이념성향은 진보와 보수가 각각 약 20%, 중도가 60% 정도였다. 연령은 만 20~25세가 가장 많았으며, 주로 20대였다. 출신지는 서울이 약 42%로 가장 많았으나, 통계청의 인구총조사와 주민등록조사 결과에 따르면 20대라고 해도 서울에 거주하는 비율은 약 20%였으므로, 본 조사의 경우 서울 지역 대학에서 실시했으며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대학들이 주로 서울에 몰려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결과를 분석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빈도분석을 토대로 ‘대북 경제적 지원과 인도적 지원에 대한 인식’과 ‘김대중·노무현·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의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자의 경우, 대북 경제적 지원에 대체로 긍정적인 비율이 약 60.7%,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체로 긍정적인 비율이 약 83.4%였다. 한국의 대학생들은 5명 중 4명 이상이 대북 인도적 지원을 지지하며, 대북 경제적 지원보다 인도적 지원에 보다 긍정적이었다.
‘김대중·노무현·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의식’에서 각 정부의 대북정책을 대체로 긍정하는 비율은 각각 약 60%, 54%, 31%로 김대중 정부의 것을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아주 부정’한다는 대답은 이명박 정부의 정책 비율이 13%로 김대중(6.5%), 노무현(5.2%)의 정책 비율보다 높았다.
다중응답 문항인 ‘북한 정권이 붕괴할 시 가장 우려되는 것’에 대한 대답으로는 ‘혼란수습과 통일비용, 실업 등 경제적 부담(31.5%)’이었다.
성별로 이념성향이 다른지에 대한 pearson의 카이제곱 검정 결과는 95% 신뢰수준일 때 점근 유의확률은 0.008로 0.05보다 작아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성별 통일이 내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응답을 pearson의 카이제곱 검정한 결과, 95% 신뢰수준일 때 점근 유의확률이 0.146로 0.05보다 커 유의미한 차이는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통일을 위해 선결돼야 할 사항으로는 ‘진보’적인 사람의 경우 ‘남북한 주민과 경제의 교류 협력 강화’, ‘정치군사적 신뢰구축(군비 축소와 국가보안법 폐지 등)’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았고, ‘남성’들이 ‘북한체제와 정권의 변화’ 및 ‘정치군사적 신뢰 구축(군비 축소와 국가보안법 폐지 등)’을 많이 선택하였다.
2007년에 조사한 자료와 2011년에 조사한 본 자료를 비교 분석해보았다면 ‘시기’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도출했을지도 모르나, 본고에서는 2011년을 자료에 충실하였다. 따라서 결론적으로도 보통 예상할 수 있는 수준의 결과가 나타났다. 가령 ‘진보’적인 사람일수록 통일이 내 삶, 한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대답했으며,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많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9.02.04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20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